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교
상업
여자
하이스쿨
상업고등학교
여자고등학교
여자상업고등학교
스페셜
"
고등학교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DGIST,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앞당길 질소 도핑 촉매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7
합금 촉매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한 유종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팀이 실험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유종성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이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합금 촉매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맡겨서 교육 분야의 선도 국가로 우뚝 서겠다고 야단법석이다. 당장 내년부터 초·중·
고등학교
에서 새로운 개념의 AI 디지털 교과서(AIDT)가 투입된다. 사람과 일상적인 자연어로 본격적인 대화를 하고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놀라운 능력을 갖춘 생성형 인공지능(GPT)의 핵심은 딥러닝(deep learning)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
2024.09.11
의과대학 증원안이 반영된 내년도 수시모집 원서 접수를 시작한 가운데 의료계는 2025년 의대 증원 백지화가 없는 한 의정갈등이 풀릴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2025학년도 증원은 원점 재검토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제공 2025학년도 수시모집이 시작됐다. 정부가 일방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2024 청소년 과학페어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산업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유전자변형기술의 활용은 바람직한가?’였다. 전국 48개
고등학교
에서 66팀이 참여했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은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지역본부·부산대학교 창업지원단·부산대학교 기술지주·부산벤처기업협회(BUVA)와 공동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확고부동한 정책이다. 교사자격증도 받은 적이 없는 인공지능이 우리나라 초·중·
고등학교
의 교단을 온전하게 점령하게 된다는 뜻이다. 그렇지 않아도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사람 교사'는 이제 본격적으로 뒷전으로 밀려나게 될 것이 분명하다. 엄혹했던 권위주의 시대에도 경험해 보지 못한 ...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14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바이오산업 토론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위한 유전자변형기술의 활용은 바람직한가?’가 선정됐다. 이번 토론대회는 전국
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만 16~18세 청소년이면 누구나 2인 1팀으로 참가할 수 있다. 참가를 원하는 학생은 토론 동영상과 토론 개요서를 제작하여 8월 2일(금) 오후 2시까지 대회 홈페이지인 ‘GMO정보포털’(https://www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사교육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심지어 초등학교 5학년에게 의대 진학에 필요한
고등학교
2학년 수학을 가르치는 '초등의대반·선행반·초등메디컬반·초등M클래스'가 등장했다. 39개월 동안 중학교 수학에서 고3 이과 수학까지의 교육과정을 가르친다는 것이다. 공교육 현장에서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
2024.06.19
사이언스'가 '적분기호도 모르는 공대'의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하는 기사를 싣기도 했다.
고등학교
에서 '미적분'의 기초를 전혀 배우지 않은 학생이 공대에 진학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분석한 기사였다. 정부가 학력 저하에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정부가 작년 6월에 내놓았던 '공교육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
2024.05.08
'통섭'을 위해서가 아니다. 실제로 대학에서의 '문과'와 '이과'의 구분에 의한 폐해는
고등학교
나 대학입시에서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대학에서 문학·역사·철학과 과학·공학이 대립·갈등하고 있는 것도 고질적인 문·이과 구분 탓이다. 아직도 학생들에게 음양오행설이 동양의 전통적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3년 동안 거의 모든 과목에서 1등급을 받아야만 하는 현실이 만들어내는 황당한 일이다.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시험에서 1등급을 놓친 학생들이 '빠른 자퇴'를 하고 검정고시로 수능을 준비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교육부에 따르면 4월에 치러지는 고졸 검정고시에 응시한 10대 학생이 1만6332명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