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무인탐사장비가 사용됐다. 바로 자율해저탐사정(AUV)과 원격조정탐사정(ROV)이다. AUV는 길이 6m로 어뢰처럼 생겼다. 한 번에 최대 20시간까지 스스로 잠수해 항해하면서 해저 지형 탐사를 수행한다. 우리는 AUV를 내려 보내 해상도 1m급 해저 지형 자료와 해저면 지질 정보를 얻었다. 연구선에서 얻을 수 ...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동물과 관계가 좋지 않을 때 고양이는 아주 큰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집 주변에 사는 길 고양이들이 많은 경우에도 고양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한집에 사는 반려묘들의 관계는 아주 미묘한 만큼 신경 써서 관찰하지 않는다면 그 관계를 알아차리기 어려운데요. 동거묘들끼리 서로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망망대해를 건너는 험난한 여정을 거쳐 극심한 추위를 막고 마을을 구해냈습니다. 그 길의 끝에는 뭐가 있었냐고요? 아래에 공개합니다. 스포일러가 있으니 게임을 할 사람은 절대 읽지 마세요 ...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를 텾치라고 한다. 텾치가 발생하면 갑자기 도로가 끊긴 것처럼 전류가 흐르는 길이 사라지고, 그 부위에 열이 발생하면서 1초도 되지 않아 전선이 다 타버린다. 한 교수는 “10년 전만 해도 초전도 학회에서 텾치 현상은 언급하면 안 되는 금기 조항 같은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그만큼 해결하기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본 장식을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답니다. 산 위에서 사는 사람들 차가 구불거리는 산비탈길을 오르자 대원은 모두 멀미를 호소했습니다. 그래도 올라간 보람이 있었죠. 태국과 미얀마, 캄보디아가 만나는 산 도이 퉁은 지금까지 본 어떤 산보다도 활기찼습니다. 이곳은 30년 전만 해도 살기 힘든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받았지만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노력한 결과 지금의 자리에 이르렀다. 반도체 성장의 길을 함께했던 필자가 중국의 양적 연구가 언젠가는 질적 연구로 전환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하는 이유다. 양에서 질로 변모한 사례는 슈퍼컴퓨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매년 세계 슈퍼컴퓨팅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브레이킹 포인트를 파악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레이저 측정기 세 개를 스톤이 지나가는 길목에 나란히 놓고 스톤을 밀면 레이저 측정기로부터 스톤까지의 거리와 스톤이 움직이는 속도가 실시간으로 측정된다. 만약 스톤이 일직선으로 미끄러진다면 레이저 측정기와 스톤 사이의 간격이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선 대칭이 떠올랐겠지만, 보통은 거울에 비친 사물이나 미술 시간에 배운 데칼코마니, 길 양옆에 서 있는 가로수가 생각날 거예요. 이들의 공통점은 뭔가를 기준으로 좌우에 ‘똑같은’ 대상이 있고, 뭔가 질서정연한 느낌이 든다는 겁니다. 우리가 어렴풋이 알고 있는 이 대칭이 과연 정확한지 ... ...
- 아끼면서 아름다운 한복, 수학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가슴둘레가 90cm인 사람의 치마 아랫부분 둘레를 그 두 배인 180cm로 정하는 겁니다. 따라서 길이가 180cm인 옷감을 준비한 뒤, 주름을 만들어 둘레를 90cm로 만들어야 하죠. 만약 주름너비가 0.5cm인 주름을 만든다면 주름을 하나 만들 때마다 1cm가 줄어드니까 주름을 총 90개 만들어야 180cm인 옷감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밤하늘에 흩뿌려졌는데, 이 흔적이 은하수가 되었다고 해요. 그래서 은하수를 ‘우유의 길’이라는 뜻의 ‘밀키 웨이(milky way)’라고도 한답니다. 빅뱅(Big Bang)‘빅뱅’은 말 그대로 ‘꽝!’ 하는 대폭발로 우주가 생겨났다는 뜻이에요. 사실 이 이름은 빅뱅이론을 반대한 과학자들이 처음 썼어요.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