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시각정보가 어떤 형태로 처리되는지, 또 이들 단계마다 어떤 정보가 이용되는지 알 길이 없다. 그저 시각정보가 상위 단계로 전달될수록 뇌는 점점 더 복잡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인지하고(이 사람이 누구인지, 누구와 닮았는지), 추상적인 정보(표정이 어떤지)까지 생성한다. ‘제니퍼 애니스톤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분분하다. 그러나 통계를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HIV는 잠복기가 길어서 감염 시점과 진단 시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통계는 정확히 말하면 올해 ‘감염’된 사람이 아니라 올해 ‘진단’된 사람을 의미한다. 최 교수는 “한국의 HIV 유병률은 0.02% 미만으로 집계되는데,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3 신원소 발견의 도시, 와코시’. 와코시 전철역에서 이화학연구소까지 약 1.1km에 이르는 길에는 1번 수소(H)부터 113번 니호늄(Nh)까지 1.2m간격으로 원소 표석을 세워 놨다. 장기 연구 안정적 지원이화학연구소의 경쟁력은 기초과학에 대한 일본 정부와 사회의 아낌없는 지원이 밑거름이 됐다. 이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것들을 폭로하고, 젊은이들의 방향감각을 혼란시켜, 그들이 다시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길을 발견하도록 도와주고자”(미국 하버드대 교양교육혁신위원회 보고서 발췌)교육한다. 그리고 이렇게 쌓은 노하우를 한 권의 책으로 엮어냈다. 이 책은 과학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면서, 유명한 발견과 발명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IHES)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런데 순수한 학문 연구기관이 길 바랐던 IHES에 프랑스 국방부의 군사용 연구자금이 일부 들어오자, 전쟁을 극도로 싫어했던 그로텐디크는 IHES를 떠났다. 이후 자신이 공부했던 몽펠리에대로 돌아와 1988년까지 교편을 잡았다. 김치와 맺은 인연먼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오지 여행가 ‘ 바라프게 다가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룰루랄라~♬ 신나는 여행~!”아름다운 계절을 즐기기 위해 걷기 여행을 떠나기로 한 썰렁홈즈. 오랜만에 떠나는 여행이라 짐을 싸면서 자신도 모르게 콧 ... 울렸다.“썰렁홈즈님! 저는 여행가 ‘바라프게 다가마’예요. 오지 여행을 하고 있었는데 그만 길을 잃고 말았어요. 도와 주세요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입자 4개의 위치가 하나가 아닌 두 개의 함수로 표현되는 것이다. 하나의 목적지로 가는 길이 두 개인 셈이다. 4개의 마요라나 페르미온이 위치를 서로 바꿔, 같은 위치에 정확히 돌아가더라도 이 상태를 기술하는 함수가 달라진다. 즉, 위치를 교환하는 ‘순서’를 이용해 연산한다. 이 순서는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렇게 돌아온 두 개의 레이저 빔을 합성하면 간섭 현상이 생긴다. 이를 이용해 두 팔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어떻게 변했는지 측정함으로써 중력파를 검출한다. 라이고는 2005년 목표했던 감도에 도달했고, 2007년부터는 유럽 중력파 관측소 ‘버고(Virgo)’까지 가세해 삼중 관측이 진행됐다. 201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때 약간 물리적 충돌이 있었지요. 그 뒤에 포보스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오시는 길에 핵미사일을 여러 기보셨을 겁니다. 그게 정부의 대응이었고요. 지금은 묘한 대치 상태입니다. 저희는 흩어지면 약합니다. 한 개인으로서 발휘할 수 있는 현실조작능력은 단순한 염동력(念動力)들입니다.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이수재 충북대 약대 교수 등이다. 인터뷰를 마친 뒤에는 이병길 박사에게 “함께 사진을 찍자”며 “사진이 언론에 나가면 이 박사도 한국에서 유명해질 것”이라며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지난해 10월호 과학동아에 한 번 소개되고 끝났을 사진이 헨더슨 박사의 노벨상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