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d라이브러리
"
액체
"(으)로 총 2,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많이 쓰인다. 컴퓨터의 모니터로 더 잘 알려진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는
액체
도 고체도 아닌 액정(liquid crystal)이라는 물질로 이뤄져 있다. 액정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대신 전압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는 정도가 달라진다. LCD TV는 카메라의 셔터처럼 광원에서 나온 빛의 투과량을 ... ...
‘공기파도’로 모양 구분해 신약 효능 분석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물질을 이온화시킨다. 이온이 포함된 용액은 시냅 HDMS의 스프레이팁을 거쳐 분무되면서
액체
방울은 떨어지고 가벼운 이온만 분석기로 들어간다. 분무 효율을 높여 이온이 원활하게 흐르게 하기 위해 스프레이팁의 지름은 고작 10㎛(마이크로미터, 1㎛=10-6m)밖에 되지 않는다.질량만 측정하는 기존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힘이 강해서 거품이 많고, 흑맥주를 만들 때 사용하는 흑맥아는 당 함량이 높아
액체
자체가 끈적끈적하기 때문에 거품을 잡아 두는 능력이 더 좋다. 하지만 거품이 많다고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다. 맥주를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첨가하는 ‘호프’라는 물질도 단백질이라서 거품을 형성하는 ...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무게 25kg, 최대 출력 350N(지구에서 35kg을 들어올리는 힘)에 이르는 달 착륙선을 개발했다.
액체
과산화수소를 연료로 쓰는 엔진을 이용하면 달에 약 20kg의 물체를 착륙시킬 수 있다. 엔진에 들어가는 촉매 반응기를 포함한 부품을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연구팀이 만든 달 착륙선의 가장 큰 특징은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기억력, 판단 능력 같은 지능은 엇비슷해 보인다”며 “특히 ‘터미네이터 2’의
액체
금속 로봇(T-1000)부터 동정심이 사라졌다”고 밝혔다. 이번 영화에서도 T-600이든 T-800이든 기계 군단의 인간형 터미네이터는 심장이 뛰는 것이라면 고민하지 않고 잔혹하게 살인하는 기계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 ...
고강도
액체
금속 개발한 청국장 마니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변형되기 때문에 한계초과로 구조물이 갑자기 무너지는 사고도 줄일 수 있다.최근 그는
액체
금속으로 차세대 에너지인 수소를 추출하거나 연료처럼 저장할 수 있는 재료를 연구하고 있다. 알루미늄 포일처럼 얇은 은박 모양인 금속분리막은 니켈과 나이오븀의 합금으로 원자 배열 구조가 불규칙해 ... ...
낮이 가장 긴 달은 하지가 있는 6월인데 왜 날씨가 가장 더운 달은 8월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반면 종이에 물이나 기름이 묻으면 투명해집니다. 종이 표면에 있는 수많은 구멍들이
액체
로 매워져 울퉁불퉁한 표면이 매끄러워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물과 기름은 투명해 빛을 잘 투과시킨다는 점도 영향을 줍니다. 그래서 기름에 젖은 종이는 기름에 젖기 전보다 빛을 많이 투과시키고 종이 ... ...
기체의 독특한 성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기체는
액체
나 고체와는 다른 독특한 성질을 갖고 있다. 기체분자운동론은 이런 기체의 성질을 이상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하지만 실제기체는 이론과 다르다. 이마저도 독특하다. ...
생활 속 밀도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룬다. 물보다 밀도가 큰 염화메틸렌이 아래층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배를 넣어주면 두
액체
의 중간층에 배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염화메틸렌은 다량 복용할 경우 구토와 손발마비, 호흡곤란 등의 증세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유독한 약품이다. 따라서 위 실험을 하고 싶다면 유독하지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바위와 유체 사이의 상호작용이 수차례 반복돼야만 일어날 수 있다. 희귀 원소들이 종종
액체
상으로 분리돼 모이기 때문이다. 지구(그리고 아마 금성도)에서 현무암과 퇴적층이 다시 녹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화강암이 만들어졌고 새로운 광물 500여 가지가 추가됐다. 여기에는 리튬과 베릴륨, 붕소,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