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충격이 몸에 남긴 힌트 표피 박탈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바지에는 충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찢어진 부위가 관찰됐다. 증거물이 있었던 위치와 손상 부위를 촬영한 뒤 수거했다. 현장 수사를 마치고 다시 사무실로 돌아가는 길에 형사에게서 전화가 왔다. “검시관님 말씀이 맞았습니다. 교통사고입니다. CCTV 영상 확보했어요.” 이렇게 극적인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백악기 말 한반도 남동쪽에 존재했다가 지금은 사라진 ‘이자나기판’이 대륙 쪽에 위치한 유라시아판 밑으로 섭입하는 동시에 태평양쪽으로 이동했고, 이때 지각 하부의 형태가 변했다고 설명합니다. 즉, 판 하부로 섭입하던 판이 다시 바깥으로 나오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례적으로 많은 화성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인자가 있을 때 검사액 전체의 색을 변하게 만든다”며 “검사액이 담긴 용기의 어느 위치에 질병 인자가 존재하는지, 또 얼마나 존재하는지 구체적인 정보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접착성을 띤 발색 신소재를 개발하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같은 유해 인자가 붙어있는 특정 공간만 색이 변하게 ...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성공한 건 2012년 포착된 ‘FRB 121102’에 이어 두 번째다. 특히 단 한 차례 신호만으로 위치 확인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9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doi: 10.1126/science.aaw590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발표했다. 우리 연구팀이 고흥군 외나로도 지역이 남해군 양아리 지역보다 우주센터 위치 선정의 주요 조건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의견을 ‘우주센터추진위원회’에 제출한 뒤였다. 이는 발사 방위각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한 결과였다. 남해군 양아리 지역은 고흥군 외나로도보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별자리도 조금씩 변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않을 정도로 미미하지만, 수천 년이 지나자 천문학자들이 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별의 위치가 달라진 거예요.지금도 하늘의 별들은 각자의 방향으로 고유운동을 하고 있어요. 현재의 별자리가 미래에는 다른 모습으로 바뀔 수 있다는 뜻이죠. 미래에는 별자리가 어떻게 바뀔까요? 유럽우주국(ESA)은 4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수 있어요. 식물의 줄기에 붙어있는 잎의 배열을 살펴봅시다. 한 줄기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잎사귀에서 관찰을 시작하죠. 첫 번째 잎에서 시작해 줄기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올라가 이 잎사귀와 완전히 똑같은 방향에 있는 잎사귀를 찾을 때까지 개수를 세는 겁니다. 그러면 신기하게도 같은 ...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빠른 적응(FA·Fast Adaptive) 수용체는 순간적인 압력 변화를 알아차린다. 이 둘을 분포 위치에 따라 다시 분류하면, 피부 바깥쪽에 있는 감각수용체(SA1, FA1)와 피부 깊숙이 자리 잡은 감각수용체(SA2, FA2)로 나뉜다. 걸을 때는 주로 발바닥의 FA가, 서 있을 때는 주로 발바닥의 SA가 촉각을 인식한다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했다. 키헤이븐은 미국에서 브라질과 가장 가까운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시기 브라질에서는 지카바이러스가 크게 유행했다. 먼로 카운티 전체에서는 4만여 명이 투표해 58%(2만3218표)가 GM 모기 방사에 찬성했다. 하지만 정작 모기가 방사될 키헤이븐에서는 투표에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전체를 강하게 조였고, 이에 당황한 변사자는 쓰러졌을 것이다. 가까스로 그라인더의 스위치는 끄는 데는 성공했지만, 경부의 기도와 혈관이 막히면서 발생한 저산소증으로 의식을 잃고 사망한 것이다. 이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과 함께 현장 검증을 시행해 이런 사고가 실제로 발생할 수 있음을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