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로 배열된 세계서 구현된 '슈뢰딩거 고양이'
동아사이언스
l
2025.08.17
원자 배열 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광학 핀셋이 각 원자를 원하는
위치
로 이동시키는 최적의 방법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는 AI 모델을 고안했다. AI 모델을 이용해 루비듐 원자들을 재빠르게 배열해 슈뢰딩거 고양이 만화를 만들었다. 영상을 구성하는 노란색 점 하나가 ... ...
젖은 손에 있는 이온, 감전을 부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8.16
높아집니다. 감전은 몸에 전류가 흘러 충격을 받는 것입니다. 감전이 일어나려면 전기의
위치
에너지 차이인 전위차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닫힌 회로가 필요합니다. 전하를 띤 입자인 전자나 이온이 전기장을 따라 이동하면 전류가 생깁니다. 물이나 땀에는 이온이 들어 있어 우리 손이 전류가 ... ...
[사이언스영상] 불량 맨홀 잡아내는 AI
SEIZE
l
2025.08.16
맨홀의 단차를 확인한다. 트럭에 달린 카메라로는 도로 영상을 찍고 GPS 장비로는 맨홀
위치
를 파악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는 AI가 분석한다. AI는 카메라로 찍은 도로의 영상에서 맨홀을 자동으로 탐지해낸다. 이후 맨홀과 주변 도로의 영상을 추출해 불량 맨홀의 결함 정도를 안전 등급에 따라 ... ...
그네는 왜 다리를 구부렸다 펴면 움직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8.16
흔들리는 현상입니다. 그네에 앉은 채로 뒤로 물러섰다가 발을 떼면 그네 의자가 원래
위치
로 돌아오기 위해 내려왔다가 빠른 속도로 앞까지 올라갑니다. 올라간 그네는 다시 내려오려고 하다가 뒤로 올라가면서 앞뒤로 흔들리기를 반복합니다. 흔들리던 그네는 공기의 저항 때문에 점점 속도가 ... ...
슈퍼박테리아 대항마 고세균은 '항생제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8.15
고세균이 생산하는 펩티도글리칸 절단 단백질은 대체로 고세균 세포의 외부에
위치
했다. 일부 고세균은 생존을 위해 경쟁하는 세균에 펩티도글리칸 절단 단백질을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고세균은 세균 및 진핵생물과 다른 고유한 생명 ... ...
서울대병원, 아시아 최초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8.14
한계가 있다. 수술 방법에 따른 기증자(신장 적출) 및 수혜자(신장이식)의 절개
위치
비교. 단일공 로봇 수술을 할 땐 기증자(배꼽 3~4cm)와 수혜자(하복부 6cm)에게 하나의 절개만 낸다. 서울대병원 제공. 반면 단일공 로봇은 배꼽(기증자) 또는 하복부(수혜자)에 단일 절개를 내 수술을 할 수 있다. ... ...
비 오지만 무더운 광복절 연휴…내주 후반 또 강수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5.08.14
33℃ 내외로 덥겠다. 다음주까지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이 우리나라 상공에
위치
하는 기압계가 예상돼 날씨가 무덥겠다. 서풍이 지속되고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며 체감온도가 더욱 상승하겠다. 해안가와 도심지역을 중심으로는 열대야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건강관리에 각별히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국내외 톱티어 연구기관 협력플랫폼 출범 1주년 성과와 비전 공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13
확보를 위한 전략에 대해 토론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충북 청주에
위치
한 오창 다목적방사광가속기구축사업단(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오창센터)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진짜’ 연구 기반시설(연구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정부와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아산병원 ‘유전성·희귀 비뇨기암 클리닉’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통해 신의료기술로 지정된 최첨단 방사선 치료 기술이다. 치료 계획 시 환자의 자세와
위치
를 정밀하게 재현하고 계획한 치료 자세에서 벗어나면 자동으로 방사선 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의 헤나 또는 타투 방식이 아닌 무표식 방식으로 표식하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 ...
1초도 안되는 찰나에 암세포 파괴…삼성서울병원, 양성자 치료 핵심 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40Gy/s·70Gy/s)에서 예상 선량과 실제 선량이 정확히 일치함을 확인했다. 방사선 도달
위치
정확도 역시 기존 기준(1mm)보다 높은 0.4mm를 기록해 깊은 부위 암이라도 정상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며 표적만을 정밀하게 타격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조성구 교수는 “플래시 기술은 동일한 부위에 정상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