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성처럼 살다간 별나그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많이 담고 있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박석재 박사는 이 두 사건을“한국 아마추어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커다란 업적”이라고 평가했다.소백산천문대 문지기에서 관측가로1993년 그는 홀연 소백산천문대로 자리를 옮겼다. 그가 소백산천문대에서 일하기까지의 일화는 이미 아마추어 사이에선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이 알고리듬을 기초로 해 만든 데이터베이스(DB) 소프트웨어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천문학
연구에 적용, 20억개의 천체 중에서 별과 은하를 자동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컴퓨터는 사전에 입력된 별과 은하의 이미지 패턴과 천체의 모양을 비교해 해당 천체의 실체를 파악했다.최근 연구자들은 ... ...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서울대 전파망원경 사업을 진두해서 지휘한 서울대 구본철교수(지구환경과학부
천문학
전공)는 서울대 전파망원경에 대해 “외국에서 사온 것이 아니라 박사과정 대학원생 3명이 직접 관여해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학 내에 있기 때문에 실험실습과 같은 용도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행성들의 거리와 비슷했던 점은 단순한 우연의 결과였던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행성
천문학
자 제라드 카이퍼(1905-1973)는 행성의 질량과 거리를 고려해서 물리적인 근거로 이 수열을 설명하려고 애를 쓰기도 했다.현재는 소행성이 행성에 비해 크기가 작고 자체적인 대기를 갖지 않는 천체로 보통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있다.그런데 ‘가니메데’라는 용어는 아무래도 우리에게 편치 않은 외래어다. 그래서
천문학
에 초보인 일반인으로서는 이름을 금새 잊어버리기 쉽다. 가니메데가 목성의 위성인지 토성의 위성인지 혼동스러워질 수도 있다. 그래서 며칠만 지나면 도대체 어디에서 물이 발견됐다는 얘기인지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우리가 NEO를 발견하고 궤도를 계산하며 추적·감시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천문학
자들이 연구비를 따기 위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꼭 밝혀두고 싶다.해가 지지 않는 탐사2000년 1월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지구접근천체 추적감시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그 주인공은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런 고구려의 천문지식에 대한 뿌리를 제공한다.또한 우리나라의 천문지식이 중국
천문학
의 전래에 의해서만 시작된 것이 아니라 선대의 고유한 천문지식의 전승이 있었다는 하나의 결정적인 증거다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의미)로 계산했고 이로부터 우주의 나이는 20억년 가량으로 추정됐다. 그후 여러
천문학
자에 의해 얻어진 허블상수의 값은 계속 바뀌었다. 1956년 미국의 앨런 샌디지는 허블상수를 1백80km/초/Mpc로 계산했으며 그에 따라 우주의 나이는 허블의 계산보다 갑자기 세배나 커지게 됐다. 그후 허블상수의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건설되기 몇천년 전부터 태양, 달, 별, 행성들의 운동을 세밀하게 관측하는 등
천문학
에 고도의 지식을 갖고 있었다. 우선 그들은 매년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나일강의 홍수가 일어나는 날과 큰개 별자리 시리우스별이 1년에 1회 동트기 직전에 나타나는 것을 정확히 탐지해 1년이 3백65.25임을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흡수된 부분이다. 원자나 분자는 종류에 따라 특별한 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그래서
천문학
자들은 흡수선의 위치를 지구상의 알려진 원소에서 나타나는 스펙트럼과 비교해 별의 구성원소나 성질을 알아내기도 한다.현재는 여러 별들을 특징적인 스펙트럼별로 분류한 체계를 사용한다. 보통 별의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