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행성이라는 사실이 굳어지자 이 행성에 이름을 붙이는 일이 남아 있었다. 프랑스의 어느
천문학
자는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허셜’로 하자고 제안했고 독일의 보데는 ‘우라누스’라는 이름을 추천했다. 하지만 허셜 자신은 새로운 발견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데 서슴지 않고 영국 국왕의 이름을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것을 보면 이런 종류의 천체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20세기초 미국의
천문학
자 허블이 처음으로 은하를 분류하기 시작했는데 일차적인 기준이 은하의 모양이었다. 소용돌이를 닮은 은하는 나선은하, 둥근 타원을 닮은 은하는 타원은하, 일정한 모양을 갖지 않는 은하는 불규칙은하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공동회장을 맡으셨으며, SETI 계획과 ‘코스모스’란 책으로 여러분께 잘 알려진 코넬대
천문학
과의 칼 세이건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다른 한분은 UFO와 외계인에 관한 ‘납치’란 책을 저술해 큰 화제가 됐던 하버드대 의과대학의 존 맥 교수님입니다. 두분 모두 1970년대에 퓰리쳐상을 받으셨으며,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일부는 지구궤도를 가로지르기도 해서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세계 많은
천문학
자들이 소행성 관측과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태양 주변을 타원궤도로 돌고 있는 에로스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태양까지의 거리(근일점 거리)가 1.13AU(1AU는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로서 1억 ... ...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대학의 방침에 따라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정지해 있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낡은
천문학
을 가르쳤다. 왜일까.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은 성서에 모순됐기 때문에 공개적인 지지에는 커다란 위험이 따르던 시대였다. 교회가 코페르니쿠스의 학설을 공식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1600년 조르다노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 춘분점의 위치가 조금씩 달라져왔기 때문에,지금은
천문학
자들이 말하는 황도 12궁이 점성가들이 말하는 것과 큰 차이가 생겨버렸다.그 결과 현대인들은 엉뚱한 날짜와 시각으로 사주를 본 별점의 점괘를 읽고 있는 중이다.따라서 자신의 운세를 보고 낙담하거나 너무 ... ...
우주 그리고 인간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망원경 계획'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미국의 NASA.프랑스의 우주
천문학
연구소와 함께 우주의 나이를 밝히는데 참여하게 된 차세대자외선망원경계획(GALEX)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1백50억 광년 떨어진 물체를 볼 수 있다.때문에 스바루의 CCD가 받는 데이터를 이용해
천문학
적 모델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1초에 1천억번을 계산할 수 있는 연산능력과 1백GB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2.4TB의 디스크와 1백50TB의 테이프가 요구된다. 이 일은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일으켜 겉보기 밝기가 변하는 대표적인 식변광성다.알골은 1667년 이탈리아 볼로냐의
천문학
자 제미니아노 몬타나리에 의해 밝기가 변하고 있다는 사실이 처음 발견됐다. 그뒤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했던 존 구드릭이 18살이던 1783년에 알골의 정확한 변광주기를 측정했고 변광의 원인을 어두운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있는 듯하다.예를 들면 어떤 전쟁에서 승리한 날일지도 모른다.그러나 추석은
천문학
적으로 분명히 의미가 있는 날이다.추분에 가까운 추석 전후에 떠오르는 달은 매일 시간차이가 별로 없이 해가 진 후 바로 떠,저녁시간을 밝게 비추었던 것이다.이런 점에 일찍부터 남다르게 눈을 떳던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