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인간의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지지 않고 제자리를 지킬 수 있는 핵심적인 이유는 인 덕분이다.인은 인산이라는 3양성자산을 만들고,인산은 당과 교대로 결합하면서 당-인한 골격을 만들어 염기가 일정한 순서에 따라 결합하도록 한다.유전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한다는 얘기다.미국 대통 ... ...
Ⅱ. 드라큘라는 왜 보름달에만 출현하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우리나라 사람들은 보름달이 뜨면 마음이 넉넉해지고 모든 것을 풍요롭게만 느낀다.하지만 서양인들은 보름달이 나타나는 날에는 괜히 불안에 떤다.이상한 일이나 사건이 터지지 않을까 하고.왜 서양인들은 보름달을 두려워하는 것일까.다음에 열거한 공포 ... ...
무선통신의 창시자 마르코니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20세기를 뒤흔든 정보통신혁명의 물결은 21세기이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변화의 핵심을 이루는 단어는 바로 '무선'(wireless)이다.듣고,말하고,보고,읽고,쓰고,전달하는 모든 작업을 이동(mobile)하면서도 할 수 있는 세상.이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전달매체로 이용하게 됐기 때문이다.우표 ...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피아노의 '도'음과 바이올린의 '도'음은 같지만 다르다.진동수가 동일하다는 점은 같지만 음색이 차이나기 때문이다.사실 피아노의 '도'음은 여러가지 파동이 합쳐진 것이다.이것은 바이올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어떤 파들이 합쳐지는가에 따라 같은 음이라도 음색이 다르게 나타난다.일상생활 속 ... ...
사이버 세계의 저항문화 안티사이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사이버 세계에서 안티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기업 같은 거대 단체에게 피해를 보던 많은 소비자들이 그들의 주장을 펼치기 시작했다.'안티', 곧 반대하고 거부한다는 말이다.왜 반대하고 거부하는 것일까.진정 반대하고 거부만 하는 것일까.안녕하세요.저는 모회사의 케이블모뎀을 사용하고 있습니 ... ...
나눗셈으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달력 개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1년의 월수를 정하고 각 달의 날짜수를 정하는 것이 단순한 나눗셈의 문제는 아니다.이것은 달력을 바꾸려는 시도가 많이 이뤄진 것에서 알 수 있다.수천년 동안 지켜온 전통과 종교가 얽혀있는 달력 개정은 수학적인 단순함을 고집할 수 없는 예다.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달력은 1582년 교황 그 ... ...
고대 도시 폼페이의 부활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1946년 개발된 애니악이 폭탄과 미사일의 탄도계산에 쓰였다는 점을 보면 초기 컴퓨터는 군사적인 목적에서 개발됐다. 그러나 현재 슈퍼컴퓨터가 사용되는 분야는 일반인이 생각하는 정도를 뛰어넘어 점점 넓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문화와 관련된 일이다.가령 미켈란젤로가 그의 무덤 동 ... ...
대덕 슈퍼컴퓨팅사업단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1967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의 전자계산실로부터 시작된 공공 슈퍼컴퓨터센터. 지나온 세월동안 취약한 국내의 전산 기반에서 출범해 컴퓨팅관련 공공서비스를 해온 곳이다. 이곳을 이끄는 이상산 단장으로부터 슈퍼컴퓨팅사업단의 역할을 들어보았다.먼저 슈퍼컴퓨팅사업단은 슈퍼컴퓨터와 ... ...
한가위 보름달에 얽힌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보름달에 얽힌 속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여러곳에서 나타난다.대표적으로 지평선 위에 뜬 보름달이 유난히 커보인다는 생각.우리는 보름달을 바라보며 풍요롭게 생각하지만 서양인들은 괜한 두려움에 떤다.흔히 달 속에는 계수나무 아래 토끼가 산다고 생각했지만 두꺼비도 살고 있었다.이제 보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름달에 얽힌 속설 하나.왜 지평선 가까이 떠오른 달은 하늘 높이 솟은 달보다 더 커보이는 것일까.쉬운 것처럼 보이지만 쉽게 설명하기 힘든 문제다.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 이 문제에는 심리학적인 측면이 강하다.그 이유를 파고들어 보자.큰 바위나 나무 앞에서 ... ...
이전
1072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