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각하기"(으)로 총 2,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충동구매가 자존감을 높여주진 않는다2025.06.28
- 충동구매를 나타내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간단하게 말해서 ‘자신이 그럭저럭 가치 있고 괜찮은 사람이라는 느낌’을 자존감이나 자기가치감이라고 부른다. 어디까지나 '내가' 나에 대해서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조건이 훌륭하다고 해서 반드시 자기가치감이 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에서 하찮은 존재"…너그러운 사회 만든다2025.06.21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주에 관한 강의를 듣다가 이렇게나 거대한 우주에서 이렇게나 작은 지구에,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우리가 모여있다는 것은 기적(매우 작은 확률이라는 의미에서)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강의실을 한 번 둘러보고 또 옆에 앉아있는 친구를 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인간관계를 망치는 '정치적 파벌주의' 2025.06.14
- 악수하는 미 민주·공화 부통령 후보. 연합뉴스 제공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에서 특히 그 중에서도 미국에서 사람들의 정치적 입장 차이가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실제 정치 제도나 이득을 떠나 마치 ‘당파싸움’처럼 정치적 소속이 일종의 ‘정체성’이 되고 있다고 해서 정치적 파벌주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롭다고 느낄수록 수명 짧아진다2025.05.31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마음과 몸이 하나라는 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하면 아마 ‘외로움’일 것이다. 기존 건강상태, 교육수준, 소득, 성별, 나이, 우울증 여부 등과 상관 없이 외로운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빨리 노화하고 각종 심혈관 질환, 고혈압, 면역 반응 이상, 기억력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싫은 것' 아는 것도 중요하다2025.05.24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내가 어떤 사람인지 자신의 다양한 특성을 분명하고 일관적이게 정의할 수 있고 시간과 장소가 바뀌어도 자신이 어떤 사람이라는 느낌을 확실히 가지고 있는 상태를 심리학적 용어로 자기 개념 명확성(self-concept clarity)이 높다고 표현한다. 반대로 자기 개념 명확도가 낮은 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론 '불확실성이' 삶에 도움이 된다2025.05.17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요즘은 간단한 것도 점점 더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라고 하면 무조건 나쁜 것 같지만 스트레스가 하나도 없는 환경인 경우 그만한 자극과 보상 또한 없는 환경이어서 금방 ‘지루함’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배움의 과정 또한 항상 익숙한 것에서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돈먹는 하마' AI 디지털 교과서2025.05.07
- 10일 대구 달성군 가창면 용계초등학교에서 열린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 공개수업에서 초등생들이 AI 교과서로 공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교육부가 졸속으로 밀어붙인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AIDT)가 교육 현장에서 도무지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AIDT의 채택률이 전국적으로 32.3%에 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등산 vs 케이블카…정상 풍경 감흥 다를까2025.05.03
- 연합뉴스 제공 처음에는 귀찮기만 했는데 막상 하고 나니 뿌듯하기도 하고 결과물에 애착이 가는 그런 경험을 다들 한 번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학교에서 과제 때문에 억지로 만들었지만 막상 만들고 나니 왠지 버리기 아깝고 소중해 보이는 미술 작품 같은 것들이 한 예다. 흔히 IKEA 효과라고 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을 직면해야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 2025.04.26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흔히 긍정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좋다고 할 때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어려움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거나 회피해버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서 한 두 가지씩 지병을 갖게 되지만 나는 해당되지 않을 것이고 나만은 많은 사람들이 실패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고통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2025.04.19
- 함께 더 나은 미래로 가기 위한 성찰의 시도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아마도 생각하기 귀찮아서, 심각한 분위기가 싫어서, 나의 고통은 위로받지 못했는데 남의 고통이 위로 받는 걸 보는 게 배 아파서, 그냥 현상 유지하는 것이 좋아서, 내 기분이 편안한 것이 가장 중요해서, 남이 고통받든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