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로보트
로봇트
robot
인조인간
기계 인간
자동 인형
총
d라이브러리
"
로봇
"(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발로 콩콩 뛰는
로봇
독일 생체모방
로봇
제조업체인 페스토는 실제 캥거루를 모방한
로봇
‘바이오닉캥거루’를 만들었다. 캥거루는 뛰어올랐다가 땅에 착지할 때 아킬레스건에 에너지를 축적했다가 다시 이 힘으로 뛰어오른다. 바이오닉캥거루는 탄성이 강한 고무와 용수철, 그리고 공기를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최근엔 이런 위험한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드론을 개발하고 있어요. 연구 중인 드론 밑에
로봇
팔과 카메라가 달려 있어 물체를 세밀하게 옮길 수 있습니다. 아직 연구 중인데 꽤 좋은 성과를 내고 있어 뿌듯하네요.이민지 산업체나 기업과 함께 진행하고 계신 연구도 있나요?김현진: 현재 ... ...
[생활] 내 손 안의 자산관리사, 핀테크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부동산 등 다양한 곳에 투자할 수 있도록 돕는다. 미국 월가와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를 ‘
로봇
(robot)’과 ‘조언자(advisor)’의 합성어인 ‘로보어드바이저’라고 부른다.이제 금융에서 SW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최근 고용노동부도 올해부터 금융 SW 전문가 양성에 나선다고 밝혔다. 강완모 KAIST ... ...
해마 꼬리가 사각인 이유 있었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원숭이나 강아지의 꼬리는 긴 원통형인데 왜 해마의 꼬리는 직육면체 모양일까. 미국 클렘슨대 기계공학과 미카엘 포터 교수팀이 그 원인을 밝혀 ... “원에 비해 꼭지점이 적은 정사각형이 더 쉽게 접힌다”며 “현재 개발하고 있는
로봇
에 해마 꼬리의 원리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움직일 수 있는 최대 속도와 가속도를 넘는 값을 입력해도 소프트웨어가 개입해
로봇
파손을 막는다. 이런 기능들이 합쳐져 휴보의 세계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휴보의 심장에는 하드웨어 못지않게 강력한 소프트웨어가 숨어 있다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안전하게요즘은 블로그나 SNS에 매일 글을 쓰는 사람이 많다. 누군가 글을 쓰면 웹
로봇
이 인터넷을 돌아다니면서 글을 수집한다. 뜻이 같은 다양한 문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표절 탐색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인터넷에 글이 많아질수록 표절을 막는 수단도 함께 발달한다.표절은 ‘적발 대상’,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친구들이 어른이 돼서 완벽한 뇌지도를 만들고, 인공지능을 지닌
로봇
을 만드는 모습을 기대할게요!2015년에도 뇌에 대한 비밀이 다 밝혀지지 않았다니…. 어서 뇌의 비밀이 밝혀져서 더 멋진 세상이 펼쳐졌으면 좋겠어. 그때도 친구들을 만나러 올게! 그럼 난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사람이라면 누구나 좋아할 만한 장난감을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남자아이가 좋아하는
로봇
과 여자아이가 좋아하는 인형의 집을 모두 만들 수 있는 도구를 떠올렸다. 뿐만 아니라 우리 세상의 축소판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시리즈 장난감을 기획했다. 그 결과, 2×4 브릭 6개만 있으면 1억 298만 1500가지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하이보 동 교수팀은 매미 날개를 흉내 내 매미처럼 짧은 직선거리를 빠르게 날아다니는
로봇
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나비에-스톡스 방정식★ 점성을 가진 유체에 대한 일반적인 운동방정식. 이 방정식을 이용하면 물이나 바람의 흐름, 오염물질의 확산, 별의 움직임 등을 설명할 수 있다.매미 ...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과학자들이 최근에 벼룩을 닮은 ‘벼룩
로봇
’이나 뱀의 움직임을 흉내 낸 ‘뱀
로봇
’ 등을 개발하면서 여러 동물의 꼬리에 관심을 갖게 된 모양입니다. 아무래도 동물마다 사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꼬리의 기능도 다를 수밖에 없지요. 저는 ‘멋진 꼬리 선발대회’에 출전한다는 생각으로 여러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