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삼각형"(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공리이다.직선밖의 한 점을 지나 이 직선과 만나지 않는 직선은 하나도 없다(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백 80˚보다 크다). 이 모델을 직관적으로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구면상의 적도 l에 두개의 대원(구면상의 가장 큰 원) a, b는 직각으로 만났으므로 평행이다. 하지만 이들은 북극과 남극에서 만난다 ...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불리는 이 곡선은 정삼각형에서 출발해 각 변 중앙 부분의 바깥쪽에 $\frac{1}{3}$크기의 정삼각형을 무한으로 세워가며 얻은 도형이다. 이것 역시 바이어슈트라스의 곡선과 같이 연속적이면서 어느 점에서도 미분 불능, 즉 매끄럽지 않아서 접선을 그을 수 없다. 이같은 괴물이 수학의 주류로 돼가는 ... ...
- 게 두눈 사이의 뿌연 조각 구름, 프레세페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뜨겁고 밝은 주계열별이다. 별자리에서 레굴루스는 사자의 오른 앞발 무릎에 해당하며, 삼각형 끝별에는 '데네볼라'(Denebola)라는 작고 귀여운 이름이 붙여져 있다. '꼬리'라는 뜻이다. 한편 '사자의 갈기'를 뜻하는 알기에바(Algieba)와 레굴루스는 소형망원경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쌍성,사자자리는 ... ...
- 도전 125년만에 풀린 '평면지도와 4색'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5년 03호
- 개의 위치로 바꾸어도 4색으로 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령 다른 3개국과 인접하는 삼각형의 나라가 있다면 그것을 수축시킨 4색으로 그리는 방법에서 원래의 지도에 대해 색칠하기가 가능해진다. 4각형의 나라를 수축시킨 경우도 켐페의 골로서 색바꿈에 의해서 원래의 지도에 대해 ... ...
- 특수공법건축 지진 이겨낸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역학적으로 매우 유효한데, 이것은 사변형이 보통 마름모꼴로 변형되기 쉬운데 비해서 삼각형은 변형시킬 수 없다는 원리에 근거를 둔 것이다.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라멘구조라고 해서 2개의 기둥과 그것들을 잇는 아래 위의 보로 만들어지는 사변형의 구조다. 라멘 구조(Rahmen構造)는 ... ...
- 1 자연 형태 비밀의 열쇠 기하학과학동아 l1995년 02호
- 구성돼 있다.3차원 우주공간(유클리드적 공간)에서 플라톤 입체는 통틀어 5가지. 즉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정4면체 정8면체 정20면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정6면체, 정오각형으로 이루어진 정12면체가 바로 그것.플라톤입체는 대단히 조화로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현상에 이를 ... ...
- 3 신비스런 5각형·6각형의 조화 풀러렌과학동아 l1995년 02호
- 것은 대부분 옆으로 늘어진 모양. 탄소70은 럭비볼을 형성했다. 이들은 두꺼운 종이로 삼각형과 6각형을 만들고 이를 잘라붙여 완전한 구형의 축구공 모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들은 지오메트릭 돔의 창안자인 벅민스터 풀러에 경의를 표하고자 벅키볼이라는 이름을 붙였다.탄소원자가 왜 ...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이는 이제 고대 그리스 수학이 현실적인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됐음을 뜻한다. 따라서 삼각형에서 시작해 여러 모양을 갖는 토지의 계산도 가능하게 됐다.유클리드 기하학에는 숫자가 등장하지 않는데, 헤론의 기하학에서는 숫자가 많이 취급됐다. 여기서 기하학은 이론적인 것과 실용적인 ... ...
- 화려한 산개성단 앞세워 황소 힘찬 돌진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이루는 아름다운 모습의 밤하늘 사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북쪽의 밤하늘여름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알타이르 베가 데네브가 더이상 버티지 못하고 차례로 서쪽의 지평선으로 빨려 내려간다. 천정 근처의 하늘에는 카시오페이아자리와 페르세우스자리가 이중성단을 사이에 두고 사이좋게 서로 ... ...
- 컴퓨터 프랙탈 그림특강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아핀변환들)을 찾는 수학적 능력이다. 앞에서 3개의 아핀변환을 이용하여 시어핀스키 삼각형을 그렸다.이제 그때 사용한 3개의 아핀변환을 약간씩 변형시켜 다음과 같은 꽃나무 가지를 그려 보자. (그림 10)에는 꽃나무 가지를 이루는 세개의 프랙탈 조각도 같이 표현되어 있다(꽃가지의 밑 부분이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