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모꼴
트라이앵글
삼변형
세모
d라이브러리
"
삼각형
"(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넘어가면서, 그 자리를 직녀성과 견우성 그리고 백조자리의 데네브로 이루워진 여름의 대
삼각형
에게 양보한다. 시간이 더 지나 새벽녘이 되면 이 여름철의 대표 별자리들도 천정 근처로 물러나고, 동쪽 지평선에는 페가수수자리의 정사각형중 한변을 이루는 두개의 별과 남쪽물고기자리의 1등성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다.그는 이 책에서 반달일 때 태양 달 지구가 (그림1)과 같은 직각
삼각형
을 만든다고 가정했다. 즉 달은 태양빛을 반사해 우리에게 보이는 것이므로 지구에서 정확히 반달로 보일 때는 지구와 달을 잇는 선분 OM과 달과 태양을 잇는 선분 MS가 직각을 이룰 것이므로, 이것을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먼저 물병자리의 배타성을 찾은 다음 약간 북쪽 밑에서 알파성을 찾고 이 두 별과
삼각형
을 이룰 위치를 남쪽에서 찾으면 그곳 근처에서 밝게 빛나는 수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하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쌍안경을 가지고 찾아보라. 수성이 밝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겨냥한다면 반드시 보일 것이다. ... ...
화학- 고대 4원소설에서 원자설 태어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정
삼각형
을 같은 크기의 여섯개 직각
삼각형
으로 나눈 그는 각 도형속에 포함된 총직각
삼각형
을 세어서 이들 숫자 간의 상호 관계로부터 원소간의 상호 변화를 예측했다.(1) 플라톤은 이러한 기하학ㅈ거인 도형의 수적 관계로부터 공기는 2개의 불로 바뀔수 있다고 보았다.(2) 플라톤은 물이 2개의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고, 조금더 움직여 가면 흐릿하게 보이는 별무리인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볼 수 있다. 역
삼각형
윗변의 북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서 나란히 빛나고 있는 1등성들은 쌍둥이자리의 1등성인 카스토르와 폴룩스다 ... ...
4. '혼돈의 언어' 프랙탈이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Koch curve)이라 부른다(그림2). 이 도형은 둘레길이는 무한히 늘어나면서 일정한 공간(처음
삼각형
에 외접하는 원)은 벗어나지 않는다. 물론 서로 교차하지도 않는다. 한마디로 유한한 면적 내에 무한한 길이가 포함돼 있는 것이다.여기서 프랙탈 차원의 유용성이 다시 한번 드러난다. 면적은 2차원이고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베텔규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가 하늘에서 이루는 기하학적 모양을 우리는 겨울철의 대
삼각형
이라 부르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별자리를 찾게 된다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시도가 그려져 있다. 그는 달의 위상이 정확히 반달일 때는 태양과 달과 지구가 직각
삼각형
을 만든다고 가정하고 반달일 때 그 각도를 측정, 87도를 얻고 태양까지의 거리는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의 19배라고 계산했다. 그러나 실제는 이보다 커서 3백80배이지만 이것은 당시 관측의 정밀도에서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미리 준비하고 있다면 서쪽하늘에서 적경이 약 19시인 별부터 볼 수 있다. 즉 여름철의 대
삼각형
을 이루는 것 중 거문고자리의 베가(직녀별)는 이미 져버렸지만 독수리자리나 백조자리는 관측이 가능하다. 이처럼 겨울의 서쪽하늘에서 여름의 별자리를 보고 그뒤를 따르는 가을 겨울의 별자리를 계속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적어도 현실적인 쓰임새만을 생각해왔다면 지금처럼 발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삼각형
의 두변의 길이의 합은 다른 한변의 길이보다 크다.'이 사실은 누구든 금방 알 수 있다. 하지만 지적 인간이 동물과 다른점은 증명을 해야만 직성이 풀린다는 것이다. 증명을 한다는 것은 보편성을 얻자는 것이며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