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런데 장치가 스테인리스 재질이라 열전도가 잘 안 돼요. 은박지가 열을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해 줍니다.”최근 주목을 받는 것은 고온초전도체 연구다. 김 교수팀은 철 기반 고온초전도체의 임계온도를 높이기 위한 조건이 기존 이론과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고 ‘네이처 머티리얼스’ 2016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때문이죠. 그런데 이 현상을 반대로 만들 수도 있어요. 공기의 진동을 와인잔에 전달시켜 와인잔을 흔드는 거죠. 이때 ‘고유진동수’를 이용하면 와인잔을 크게 흔들어 깰 수도 있답니다.어떤 물체에 충격을 주면 그 물체는 자신만의 진동수대로 진동해요. 이를 고유진동수라고 부르지요. 그런데 ... ...
- Part 3. 때 이른 겨울이 독감 불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유행하기 더 좋은 조건이었다”고 말했답니다.●기도: 호흡을 할 때 공기가 폐로 전달되는 통로. 콧속 끝인 상기도부터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로 이뤄져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올겨울, 더 독해지고 빨라졌다! 독감의 습격Part 1. 학교를 강타한 독감Part 2. 독감의 정체를 밝혀라Part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단백질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 발생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PLCγ1은 뇌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서 교수가 세계 최초로 뇌에서 분리·정제해 분자 특성을 밝혔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신질환을 일으키는지 여부와 기작은 규명되지 않았다.연구팀은 PLCγ1이 결핍된 유전자 조작 쥐의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 전류는 광수용체 바로 아래에 위치한 시신경세포를 자극해서 대뇌 시각피질로 정보를 전달한다.이 기술의 성패는 영상을 얼마나 정밀하게 만들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1000만 화소를 넘은 시대건만, 2013년에 최초로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처(FDA)의 승인을 받은 인공망막 시스템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타인의 주관이 끼어들었기 때문이야. 이렇게 어떤 정보를 얻었을 때, 정보를 얻은 과정과 전달받은 사람의 관점이 정보를 활용하는 데 영향을 주는 것을 ‘관찰 선택 효과’라고 해.관찰 선택 효과는 실생활에서 종종 나타나지. 민심을 듣기위해 전화로 여론조사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볼까? 한때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있다. 머리와 몸의 움직임을 감지해, 이를 목과 눈의 근육을 제어하는 신경다발에 전달한다. 사냥이나 비행을 할 때 목표를 뚜렷하게 보고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긴 달팽이관과 반고리관을 발달시키다우리 연구팀은 두뇌와 귀의 진화 과정을 밝히기 위해 에우파르케리아 ... ...
- [쇼킹 사이언스] 알록달록 무지개 산이 있다?! 단하지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대륙에 충돌하면서 만들어졌어요. 이때 인도 대륙이 중국 대륙을 미는 힘이 내륙까지 전달됐지요. 이 힘에 의해 평평했던 중국 내륙의 퇴적층이 2300만 년 전부터 찌그러져 위로 솟구쳤답니다(융기).넓은 지형이 계속해서 강한 힘을 받은 결과, 동시에 여러 개의 굴곡이 생겼어요. 이 굴곡들은 다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가상현실’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요.사람의 양쪽 눈은 약간 다른 시점에서 물체를 보기 때문에 뇌로 전달되는 이미지가 조금씩 달라요. 뇌는 들어온 두 이미지의 차이를 인식해 입체감과 거리 감각을 만들어내지요. VR 헤드셋도 이 원리를 이용해요. 앱에서 내가 만든 가상공간을 열면 화면이 둘로 나눠져요. 그 ... ...
- [과학뉴스] 만성통증,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정보를 과하게 전달해 통증을 지속시켰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뇌의 정상적인 감각 전달은 저해하지 않으면서, (신경세포의) 과도한 활성에 의한 통증만을 차단하는 방법을 찾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6년 12월 19일자에 실렸다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