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거절 못하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누군가를 실망시키는 행위도 웬만하면 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래서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 일을 매우 꺼린다.심지어 우리나라에는 상부상조하라는 사회적인 규범이 있다. 남의 요청을 매몰차게 거절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기는 압력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더더욱 거절하기가 어렵다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정도였지만,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하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를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융합 레시피전문성 × 활발한 소통두 사람은 각자 자기 분야에서 실력을 갖추는 것이 융합연구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기본 조건이라고 말했다. 한 사람이 잘 하지 ... ...
- [도전! 코드 마스터] 사이버테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서버로 전파하는 컴퓨터를 말해요. 메일이나 출처를 알 수 없는 프로그램, USB 등으로 전달된 악성코드를 나도 모르는 새 받아들이면 컴퓨터가 감염돼요. 그러면 이 악성코드에 심겨진 바이러스가 내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사람들에게 악성코드를 보내요. 이런 식으로 좀비컴퓨터가 기하급수적으로 ... ...
- [과학뉴스] 캥거루 닮은 개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그 결과, 영양분과 산소가 어미의 몸에서 주머니의 얇은 막을 통과해 올챙이에게 전달되는 것을 확인했지요. 이번 발견이 더 놀라운 이유는 ‘역진화’가 일어났기 때문이에요. 이 개구리는 원래 알을 몸속에서 부화시키는 ‘난태생’을 했어요. 난태생은 몸 밖에 알을 낳는 ‘난생’에서 ... ...
- Part 3. 혈관 속을 누비는 로봇 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달면 막힌 혈관을 뚫을 수 있어요. 또 약물을 달면 원하는 기관에 정확하게 약물을 전달하게 할 수도 있지요. 이처럼 활용 방법은 다양하답니다.지난 2010년, 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의 박종오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살아 있는 돼지의 혈관 속에서 마이크로 로봇을 움직이는 실험에 성공했어요. 하지만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장애물을 만났을 때는 덜컹거렸고,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는 멈추는 느낌이 그대로 몸에 전달되었답니다. 혜성 친구는 “화면과 기계가 흔들려서 살짝 어지러웠지만, 실제 산악자전거를 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어요.내가 그린 그림이 3D 영상으로 살아나는 ‘크레용팡’도 체험해 봤어요.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눈, 코, 귀, 피부 등의 감각기관 이 각각 시각, 후각, 청각, 촉각 형태의 정보를 받아 뇌로 전달하죠.이 정보들을 잘 버무리는 건 뇌의 몫이에요. 대뇌의 안와전두피질, 각회 등의 부위로 모인 이 정보들은 하나의 결과물로 합쳐지는 과정을 거치죠. 보고, 듣고, 느낀 정보들을 근거로 하나의 결론을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대해 공식 결의안을 만들어 채택했답니다. 이 공식 결의안은 유엔환경계획(UNEP)에 전달할 예정이에요.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여한 송지호 기자입니다. 총회가 열리기 전, 9월 24일에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서 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쓰레기 처리 방법을 배우고, ‘NO! 일회용품, YES! 재활용품’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찍듯 지문을 감지해요. 그리고는 지문의 융선을 선 형태의 정보로 만들어 컴퓨터로 전달하지요. 컴퓨터는 여러 가지 융선 중 구부러진 부분, 끊긴 부분, 점이나 실선이 있는 부분 등을 특이점으로 잡고, X, Y, θ, T 로 표현하지요.X, Y는 특이점이 있는 위치를 나타내요. 전체그림을 격자 모양으로 자른 ... ...
- 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이름을 붙였어요.뉴럴 바이패스는 뇌의 신경세포가 내리는 명령을 읽고, 이를 팔로 전달해요. 뇌가 ‘검지손가락을 구부려라’는 명령을 내리면, 이 명령을 담은 전기신호를 전극 패치로 보내서 검지손가락의 근육을 움직이는 거죠. 다시 말해 마비된 신경을 대신해 뇌와 연결된 ‘의수’가 손을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