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부분이 활성화돼 있었다.이 부위가 활성화되면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 분비된다. 연구팀은 무리에 있던 쥐 한 마리를 따로 고립시켰다가 다시 무리에 넣었다. 그랬더니 등쪽솔기핵이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고립된 경험이 있는 쥐는 혼자라는 스트레스를 이겨내기 위해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없는 학생에게도 SW 교육이 전달되도록 다리가 되고 싶어요. 앞으로도 계속 지역 사회와 연계해 봉사 활동을 해나갈 생각입니다.”경기 안산해양중학교 조광근 교사는 나눔을 실천하는 교육을 강조했다. 조 교사가 운영하는 로봇봉사동아리 회원은 2, 3학년 학생 13명이다. 이들은 3개 조로 나뉘어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독도가 동쪽으로 5cm, 서해안 지방이 동쪽으로 1.6cm 이동할 정도로 한반도에 큰 응력을 전달했다. 규슈 지진은 한반도가 놓여 있는 유라시아판에서 발생했다. 이때 쌓인 응력이 지진의 규모를 5.8 수준으로 키웠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 책임연구원은 “대지진 전후로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없었던 들판에 여러 사람이 같은 경로로 지나다니면 길이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신경전달물질이 같은 경로를 여러 번 반복해 지나가면 뇌가 거기에 적응한다. 즉, 벼락치기를 자주 할수록 도파민과 아드레날린이 작용하는 경로가 굳어져 습관이 된다. 결국 벼락치기를 하는 사람은 계속해서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존의 장점을 유지하고 화학적으로 변형도 쉬운 차세대 PEG를 개발하고 있다. 약물을 전달한 다음에는 스스로 분해되거나 몸 밖으로 나갈 수 있어 인체에 훨씬 무해하다. 연구팀은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차세대 PEG 고분자로 현재 서울대병원 연구팀과 함께 동물 실험 중이다. 김 교수는 ...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일종이지요. 이 절벽이 일본에서 오는 지진파를 흡수해, 땅의 울렁임이 한반도 위쪽까지 전달되는 걸 막는답니다. 그래서 지진 전문가들은 일본 지진이 한반도 내륙이나 백두산 같은 화산까지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큰 지진은 끝났지만, 일본과 에콰도르는 계속 이어지는 여진에 ... ...
- [과학뉴스] 햇볕으로 물 끓이려면 뽁뽁이가 필수!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팀은 “버블랩에 열이 한 번 갇히면 구리필름이 스펀지의 각 채널로 열을 빠르게 전달한다”며 “모세관현상으로 채널로 빨려 올라온 물은 100℃까지 가열돼 수증기로 바뀌었다”고 밝혔다. 계산 결과, 이 장치에 비친 태양에너지의 약 20%가 물을 수증기로 바꾸는 데 사용됐다.일반적으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어내는 거랍니다. 물체의 진동은 공기 같은 ‘매질’을 타고 우리 귀의 고막으로 전달되지요.이때 물체가 얼마나 빠르게 진동하느냐를 ‘진동수’라고 하는데, 진동수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져요. 진동수가 클수록 높은소리가, 작을수록 낮은 소리가 난답니다. 힌트 둘. 음의 높이와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넓혀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물질이나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이나 반도체 소자, 태양전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주름 속에 감춰진 뇌세포가 더 많듯이, 뇌 주름에는 아직까지 인류가 알지 못하는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런 표정은 유전적으로 뇌에 각인돼 있는 것으로, 피질하부의 신경회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면서 근육이 무의식적이고 불수의적으로 움직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당황하거나 민망할 때 짓는 표정은 사람이 성장하면서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인 관계를 학습하면서 배우는 표정이다. 즉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