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담지요. 그리고 내이에서 소리를 증폭시킨 뒤 청각신호로 바꾸어 청신경으로 뇌까지 전달해 감지한답니다. 파장의 진폭이 클수록 소리가 커지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고음이 들리지요.매미에게도 ‘귀’가 있다!물론 매미에게도 등쪽 좌우에 엄연히 청각기관이 있습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얇은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알레스테어 크리스프 교수팀은 인간의 유전자 2만 개 중 145개가 외부에서 수평 전달을 통해 유입됐음을 확인해 ‘영국왕립학회보B’에 발표했다. 이 유전자들은 대부분 소화 효소와 관련된 것으로 박테리아, 균류, 조류 등에서 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크리스프 교수는 논문에서 “동물의 진화가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한 지식이 후세로 이어질 수 없으며, 지식이 끊어진 무리의 생존 확률은 지식이 잘 전달된 집단에 비해 낮다. 침팬지가 복잡한 사회 구조를 지니게 된 비결 중 하나도 이런 약용식물일 것이다.영장류와 인간 모두 비슷한 방식으로 질병을 치료한다. 자가치료 행동은 오래 전 우리 인류와 아프리카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지구 온난화(기후변화)를 둘러싼 찬반의 논쟁을 정리하고, 이를 대중에게 쉽게 전달할 방법을 찾는 것이 목표다. 뜨거운 여름을 반납하고 의기투합을 할 정도면, 꽤 오랜 친구 사이겠거니 싶어 만나게 된 계기를 물었다. “‘UGRP 위키’를 통해서 한 팀이 됐어요. 원래 얼굴과 이름만 아는 사이였어요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돼지의 것이기 때문이다. 돼지에게는 인간은 가지고 있지 않은 알파 1, 3 갈락토오스 전달효소(α-1, 3 galactosyl transferase)가 있는데, 이 때문에 돼지의 혈관 내피세포의 세포막에는 특이한 당이 존재한다.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는 이 당에 대한 항체를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난다(자연항체). 때문에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앨리게이터는 물 밖뿐만 아니라 물속의 다른 수컷들에게도 자신의 ‘으르렁’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QR코드 참조).수컷의 등에서 전파되는 파동의 세기는 엄청나다. 그래서 수컷이 이런 자세로 소리를 낼 때 등 위의 수면은 마치 ‘춤을 추는 것처럼’ 격렬하게 진동한다. 과학자들은 이것을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거리가 너무 가까워지거나 피해야 할 장애물이 있으면 재빨리 중앙 컴퓨터로 정보를 전달하지요. 정보를 받은 컴퓨터는 차량의 속도와 방향을 바꿔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해요. 이처럼 센서와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으며 사람처럼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펜 드림 프로젝트] 서랍 속 잠자는 펜을 깨우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보면 전세계 어린이의 15%가 공부 대신 일을 한다고 해요.우리가 필기구를 모아 전달하면, 이런 친구들은 색다른 경험을 하고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거예요.서랍 속 잠자는 펜을 보내 주세요!친구들의 책상 속에 잠자고 있는 학용품을 모아서 편집부로 보내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전에 들어온 세균 유전자는 다른 세균으로부터 수평적 유전자 변이를 통해 전달됐을 것으로 추정된다.복잡한 논의를 거쳤지만 우리의 질문은 여전히 제자리다. 왜, 무엇이, 어떤 특징이 진핵생물을 고등생명체로 진화시켰고 다른 생명의 왕국은 그렇지 못했는가. 해답은 어쩌면 꼬불꼬불한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신체 구조적인 차이도 있다. 여성은 남성보다 멀미를 잘 느낀다. 전정신경(평형감을 뇌에 전달하는 청신경의 일부)에 유수 축색(수초로 둘러싸인 축색)의 수가 남성보다 적기 때문이다. 우주비행에서도 여성이 멀미에 더 취약할지는 확인해봐야 한다. 우주생리학을 연구하는 김영효 인하대 의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