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곳도 보통 미토콘드리아 안이다. 예를 들어 전자전달계의 전위차가 줄어들면 전자전달계를 이루는 단백질 중 하나인 cyt c가 바깥으로 떨어져 나온다. 세포 자살을 총괄하는 BAX 단백질이 cyt c에 이상이 생긴 것을 알아차리면 세포 자살이 진행된다. 그런데 암 세포는 BAX와 cyt c가 반응하는 것을 막아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두 가지다. 박테리아가 내뿜는 화학물질이 냄새를 만들고, 비가 이 물질을 사람의 코까지 전달해준다. 그런데 놀랍게도 비를 내리게 하는 원인 역시 박테리아다.덴마크 오르후스대 연구팀은 지난해 2월 구름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박테리아라고 지목한 연구 논문을 ‘대기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계로 만든 인공 모세혈관은 실제 모세혈관처럼 주변의 세포에 화학물질을 성공적으로 전달했어요.사탕이 녹는 과정을 연구한 과학자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는 안드레아 윈디쉬 박사는 가족과 함께 사탕을 이용해 특별한 실험을 진행했어요. 바로, 사탕이 녹는 속도를 수식으로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금도 계속 해킹 프로그램이 깔려있는 노트북의 IP로 접속해 가로챈 데이터를 전달해주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IP는 컴퓨터의 주소이며, IP를 알면 두 단말기(PC와 스마트폰)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스파이앱이 계속 접속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해커가 컴퓨터를 켜기만 하면 두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예 없으며, 잉어나 송어 같은 경골어류도 5%에 불과해 고통을 지각하기 위한 신호전달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학술지‘어류와 어업’ 2012년 12월 20일자에서 주장했다(DOI: 10.1111/faf.12010).연구팀은 논문에서 어류가 나타내는 반응은 사람처럼 고통을 느끼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질문에 그가 답했다. 현재 시판 중인 최첨단 전자 의수는 주로 팔뚝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표면 근전도를 측정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동작 수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촉감도 느낄 수 없다. 반면 삽입형 신경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신경 신호를 직접 받으면 훨씬 다양한 동작의 의도를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때문에 블랙홀 충돌은 물론, 초신성 폭발 등 아주 먼 우주에서 만들어진 신호도 지구까지 전달할 수 있답니다.또한 전파망원경을 통해서는 우주의 탄생인 빅뱅이 일어나고 38만 년이 지난 다음의 모습만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중력파는 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부터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 ...
- [과학뉴스] 불나방의 초음파 경고 “나 맛없거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발음기관인 진동막으로 초음파를 생성해 ‘자신을 먹으면 해로운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2007년 실험실에서 확인된 행동이 실제 자연에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불나방이 무조건 초음파로만 박쥐의 공격을 물리치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추측했다. 실제로 많은 경우 이리저리 ... ...
- [과학뉴스] 가상현실과 외골격 로봇을 결합하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AxonSuit)’란 이름의 전신수트는 압축공기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해 착용자에게 압력을 전달하고, 냉각수로 온도감각을 재현한다. ‘액손스테이션(AxonStation)’이라는 외골격로봇은 팔다리를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 절벽을 오르는 등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이는 느낌을 줄 수 있다. HMD 영상과 연동도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록되는 데이터를 보고 헤드폰과 채팅방을 통해 의견을 나눴다. 파일럿에게 이 정보를 전달해 고도를 조절하기도 했다.채팅방에는 지상 관측소 등 다른 곳에 있는 연구진들도 접속해 있었다. 항공, 위성, 지상 관측소에서 각각 얻은 동시간대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기도 했다.KORUS-AQ의 미국 측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