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뉴스
"
지상
"(으)로 총 1,6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공 분야 무인이동체 개발사업 공모 개시…총 418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개발을 지원한다. 55억원이 투입되는 ‘공공임무용 무인이동체 탑재 임무SW 및
지상
운용 SW 개발사업’은 공공임무용 무인이동체의 임무 소프트웨어 개발도구 및 운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하천조사 및 모니터링 특화 드론 플랫폼 기반 하천관리 기술 개발사업’과 ‘무인이동체 기반 접근취약 ... ...
우주망원경 장착된 차세대소형위성1호 본격적으로 임무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운영과 우주에서 성능 검증을 마치고 임무 수행에 들어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지상
에서 575km 상공을 돌고 있는 ‘차세대소형위성 1호’가 초기운영과 성능검증을 마치고 과학관측 및 우주핵심기술 검증과 같은 임무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차세대소형위성 1호가 본체 ... ...
화성産 첫 와인은 화이트 와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화성 대기는 지구보다 공기 밀도가 100분의 1로 낮기 때문에 자외선이 지구보다 더 많이
지상
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자외선에 잘 적응하는 종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조지아의 유황 온천 및 기타 극한 환경에서 채취한 미생물을 기반으로 박테리아를 번식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있다. 올해 ... ...
정부·기업이 달려든다…다시 달로 향하는 미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발사했었다. 발사에 사용되는 로켓 3대도 모두 회수에 성공했다. 2개의 외부 로켓은
지상
에, 가운데 로켓은 해상에 대기 중인 무인 착륙선에 내려앉았다. 2018년 발사 때는 2개 외부 부스터는 회수에 성공했으나 가운데 로켓은 회수에 실패했다. 팰컨헤비도 NASA의 달 탐사 계획에 참여할 가능성이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이름으로 불려왔다. 어두운데다 극도로 밀집해 크기가 작고 거리는 멀어 그 동안 아무도
지상
에서 블랙홀을 직접 관측하지 못했다. 영화 ‘인터스텔라’나 과학책 등에 등장하는 블랙홀 그림은 모두 이론 계산을 바탕으로 그린 상상도였다. 비록 상상이었지만, 이번 관측으로 그 중 일부는 꽤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내뿜는 고에너지 입자는 ‘제트’로 불리며 먼 지구에서도 관측될 정도로 강렬하다.
지상
에서는 이런 제트를 관측해 블랙홀의 존재와 성질을 간접적으로 연구해 왔다. 충돌하는 두 블랙홀이 주변에 중력파를 발생시키는 모습을 그렸다. 중력파는 그 동안 빛을 통해 관측하기 어려웠던 블랙홀 ... ...
'돌베개 베며 독립투쟁' 아리랑3호·3A호가 하늘에서 본 임정100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3A호는 지구 상공 537㎞ 궤도에서 지구를 하루에 15바퀴씩 돌며
지상
을 관측하고 있다. 위성에는 가로세로 각각 55㎝ 크기 물체를 한 점으로 인식하는 고해상도 광학카메라가 달려있다. 땅 위에 서 있는 사람을 인식하거나 중소형차를 구별하는 수준이다. 아리랑3A호에는 또 세계 ... ...
'인터스텔라 속 블랙홀은 얼마나 사실적일까' 관측결과 오늘밤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멀리 떨어진 망원경과 함께 결합하면 더 먼 곳을 선명히 볼 수 있으며, 이론상
지상
에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망원경은 지구 크기다. EHT가 바로 지구 크기의 전파망원경을 구성해 우리은하(은하수) 한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태양 질량의 수백만~수백억 배인 거대질량블랙홀 ... ...
안드로메다의 자세한 모습을 사진에 담다…제27회 천체사진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Fly me to the Moon)’이 차지했다. 이 작품은 초승달을 통과하는 국제우주정거장을 촬영했다.
지상
엔 밤이 찾아왔지만 400km 상공은 아직 태양빛으로 물들어 있다. 최영삼 씨의 'Total Eclipse Double Diamond Ring'. 천문연 제공 은상은 김석희 씨의 ‘보름에서 하현까지’, 최영삼 씨의 ‘Total Eclipse Double Diamond ... ...
딱총새우로 잠수함 탐지하고, 주머니쥐로 지뢰 제거하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향후 기술을 도입할 때 필요한 환경 보호 장치를 개발할 책임도 부여하고 있다. 이미
지상
에서는 쥐가 지뢰 탐지병 역할을 하고 있다. 국제 비정부기구(NGO) ‘아포포’는 아프리카주머니쥐를 훈련시켜 세계 각지에서 지뢰 폭발물을 탐지하고 제거해 왔다. 아프리카주머니쥐는 후각이 인간에 비해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