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뉴스
"
지상
"(으)로 총 1,69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밖에서 온 두번째 '성간 혜성' 접근 중…지구 충돌 위협은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채 지나갈 것으로 예상돼 충돌 위험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3I/ATLAS는 9월까지
지상
에서 망원경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이후 태양에 근접하면서 관측이 어려워진다. 이후 12월 초부터 다시 관측 가능해질 전망이다. 3I/ATLAS가 왜 태양계를 통과하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전세계 천문학자들은 ... ...
2040년 한국에 뜰 인공태양 에너지, 고온초전도체·AI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핵융합발전은 태양 같은 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지상
에서 구현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주로 토카막이라는 도넛 모양의 장치 내부에 1억℃가 넘는 초고온 플라즈마를 자석으로 붙잡아 핵융합 반응을 일으킨다. 고온의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오래 ... ...
[동물do감] 침대 만드는 오랑우탄…밤잠 부족하면 낮잠 늘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대다수의 성체 오랑우탄은 혼자 잔다. 나무 위에서 자는 야생 오랑우탄의 수면 패턴을
지상
에서 카메라나 눈으로 관찰하는 것은 어렵다. 대신 연구팀은 오랑우탄이 잠을 자는 동안 둥지에서 소리를 내지 않는다는 사실을 활용해 둥지가 조용한 시간을 '수면 시간'으로 봤다. 소리가 나지 않는 시간과 ... ...
시작도 전에 "돈 더 달라"…美 기업 요구에 '천리안위성 5호' 개발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우주청이 입장을 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우주청은 본체 사업 예산을 부담하고
지상
국 사업을 주도하며 탑재체 사업은 기상청이 맡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우주 시장에서 한국의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독보적이고 혁신적인 위성 기술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 ...
[스페이스버드]④ AI로 위성 영상 분석해 재난 신속 감시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26
도 개발하고 있다. 슈에뜨는 가로 세로 0.5m 수준의 해상도로 24km만큼의 폭에 해당하는
지상
영역을 한번에 촬영한다. 초소형 위성에 실리는 광학 탑재체 성능으로는 매우 뛰어나다. 보통 1m 이하 화소로 촬영하는 위성이 10~12km 관측 폭으로 촬영하는 것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넓은 영역을 촬영한다. ... ...
한컴인스페이스 지구관측위성 ‘세종 2호’
지상
국 교신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을 통해 세종 2호를 발사하고
지상
국과 교신도 완료해 궤도 안착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세종 위성은 6U(유닛, 1U는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0cm인 정육면체)급 큐브위성으로 무게는 10.8㎏이다. 8개 분광 밴드를 가진 다중분광카메라를 ... ...
텔레픽스, 인니 화산 폭발 위성·분석…"화산재 위험 적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되자 화산재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샛챗은 화산재가 사라져도 이산화황이 남았다면
지상
에서 화산 폭발이 사람의 호흡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시간이 지나며 이산화황 농도가 옅어지는 모습. 텔레픽스 제공 텔레픽스는 "샛챗은 화산재를 위성 영상에서 붉은 영역, 이산화황을 ... ...
토종 우주기업 3인방 힘 합쳐 큐브 위성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확보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JACK 위성 시리즈는 위성의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지상
국 운용까지 전 분야를 국내에서 개발한 첫 사례다. 중소기업 중심의 우주 기술 자립 시대를 여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텔레픽스, LK삼양과 개발한 AI 별추적기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기존
지상
국에서 위성을 지속적으로 관제하며 궤도를 제어하는 방식은 오차 누적과
지상
기반 관제 의존도가 높다는 한계가 있다. 별추적기를 위성에 탑재하면 위성이 자체적으로 항법을 계산할 수 있어 심우주 탐사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양사가 이번에 개발한 별추적기는 ... ...
'해조류 수건'으로 서로 몸 긁어주는 범고래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공개했다.
지상
에서는 영장류와 새, 코끼리 등 다양한 동물이 도구를 능숙하게 사용하지만 바다에서는 동물의 도구 사용 사례가 상대적으로 드문 편이다. 연구팀은 2024년 4~7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미국 워싱턴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