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1회 충전으로 600km…두꺼운 고성능 배터리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용량과 충전속도를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1일 국제
학술
지 '에너지와 환경'에 공개됐다. 전기차 보급 확대로 대용량 리튬이온배터리 필요성이 커지며 배터리 용량과 직결된 전극을 최대한 두껍게 만드는 설계가 주목받는다. 분말 형태의 전극 원료를 용매에 풀어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랑이 개체 수 회복에 성공한 인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프로그램이 약 20년에 걸쳐 호랑이 개체 수를 30% 늘리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인 인도가 수십 년간 지속해온 호랑이 복원 노력이 유의미한 성과를 거둔 것이다. 호랑이 서식지가 분열되고 빈곤율이 높은 ... ...
[사이언스영상] 꿀렁꿀렁 기어가는 산호
SEIZE
l
2025.02.01
연구원팀이 버섯산호가 해파리처럼 움직이며 이동하는 모습을 분석해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에 공개했다. 영상 속 산호는 버섯산호다. 연구팀은 외부 빛을 차단한 수조 바닥에 버섯산호를 두고 백색광과 청색광을 서로 반대쪽에서 비췄다. 백색광은 햇빛과 비슷해 바닷속에선 해안가 방향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서툴러도 실패해도 아름다운 이유
2025.02.01
따라 그 일의 주인공인 자신의 모습을 해석해내는 데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국제
학술
지 '심리 과학'에 실린 마즈 린드 등의 연구에 의하면 자신의 삶에서 주인공인 자기 자신의 역할을 묘사하는 방식과 설정 등에 따라 행복과 우울증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린드 연구팀은 157명의 중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손상 없이 지구에 온 소행성 '베누' 샘플
동아사이언스
l
2025.02.01
제공 이번 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는 소행성 베누에서 가져온 샘플에 담긴 나트륨 광물의 이미지가 실렸다. 보라색으로 표시한 것이 나트륨이 포함된 광물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23년 소행성 탐사선인 ‘오시리스-렉스(OSIRIS-REx)’를 베누에 보내 샘플을 채취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 ...
'귀 쫑긋' 능력 사라진 줄 알았더니…소리에 반응하는 귀 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위해 활용했던 귀 근육이 오늘날도 활성화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31일 국제
학술
지 ‘프론티어스 인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귀를 두개골 및 두피로 연결하는 3개의 큰 근육이 귀를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대 인류는 고막으로 소리가 더 잘 흘러 들어가도록 귓바퀴와 ... ...
백금 사용량 10분의1 줄여 '수전해 셀' 생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응용할 수 있어 산업적 파급력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에너지 안바이론멘탈 사이언스‘에 18일 후면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doi.org/10.1039/D4EE0466 ... ...
[인사] 한국연구재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한국연구재단 △
학술
진흥본부장 허정은 △국제협력본부장 강동섭 ...
[인사] 울산과학기술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김지연 △
학술
정보처 문헌정보팀장 이영철 △
학술
정보처 정보화전략팀장 임종희 △
학술
정보처 정보보안팀장 범수균 △공과대학 교학팀장 최용준 △자연과학대학 교학팀장 김영기 △연구처 연구기획팀장 이광호 △연구처 연구관리팀장 손수연 △산학협력단 산학기획팀장 전정민 △산학협력단 ... ...
떨어지는 탁구공 순식간에 잡아내는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토크 역전 매커니즘(Hyperelastic torque reversal mechanism)’을 개발하고 2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갯가재와 벼룩의 동작에서 연구 아이디어를 얻었다. 갯가재가 단단한 먹이를 부수기 위해 주먹을 날리는 속도는 시속 약 90km에 달한다. 벼룩은 몸길이의 200배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