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빠만 둘'인 생쥐, 처음으로 성체까지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쥐를 성체까지 자라게 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하고 연구 결과를 28일(현지 시간) 국제
학술
지 '셀 줄기세포(Cell Stem Cell)'에 공개했다. 인간을 포함해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의 유전자는 보통 한 쌍을 이루는 염색체 형태로 나타난다. 각 개체는 염색체 두 세트 중 한 세트만 들어 있는 정자·난자와 ... ...
中 딥시크, 과학계 활용도 유망…연구자 입맛 따라 개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개조할 수 있는 개방형 모델이라는 점이 강점으로 꼽혔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29일(현지시간) 최근 출시된 딥시크 LLM의 높은 성능과 개방성이 수학이나 신경과학 등 과학 연구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분석을 소개했다. 딥시크가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한 LLM '딥시크-R1'은 ... ...
[동물do감] 정전기로 벌새에 '무임승차'하는 진드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벌새에 올라타 다른 꽃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2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공개했다. 긴부리벌새와 붉은꼬리벌새(학명 Amazilia tzacatl)가 벨루티나바나나 꽃의 꿀을 먹는 동안 부리에서 진드기들이 오르내리는 모습. Garcia-Robledo et al.(2025)/PNAS 제공 ... ...
양자컴퓨팅으로 복잡한 유체 난류 시뮬레이션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확률론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2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했다. 물이나 공기 같은 유체가 매우 복잡하게 움직이는 난류의 변화 양상을 예측하는 것은 과학자와 공학자의 오랜 목표 중 하나다. 난류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모양과 ... ...
국내 연구진, 고효율 양자 스핀 소자 가능성 제시...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30일 밝혔다.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는 2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전류는 전하가 이동해 발생하는 ‘전하 전류’와 스핀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스핀 전류로 나뉜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기기 대부분은 전하 전류로 작동한다. 전하 전류는 ... ...
덜 위험한 유방 상피내암 등 '암' 명칭 삭제 두고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종양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가 나태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맞부딪치고 있다. 17일 국제
학술
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픈'은 '유방 상피내암'과 '저위험 전립선암(GG1)'에서 '암'이란 단어를 삭제해야 한다는 주장을 두고 벌어지는 전문가들의 찬반의견을 조명했다. 2012년 미국 ... ...
야생 멧돼지 도심 출몰 소동…드론이 해결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몬태나대 박사과정생은 야생동물 퇴치에 드론을 활용하는 방안을 조명한 논문을 국제
학술
지 '보존과학의 최전선'에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그는 2017년 미국에서 야생동물과 보호종 등의 관리를 담당하는 연방 기관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서비스'에 근무하면서 드론을 사용해 야생 곰을 ... ...
"연휴 체중 증가…대학생은 근육, 노인은 지방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지방이 늘어났지만 20대 대학생은 근육량이 늘어났음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비만과학과 실천'에 최근 발표했다. 연구를 이끈 빙크스 교수는 "대학생과 노년생의 체중 증가 차이는 생애 단계에 걸친 생리학적 맥락에서 건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휴가철 기간 동안 ... ...
원인불명 코로나19 장기후유증, 수년째 신체·인지 기능 저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원인으로 혈액 내 혈청단백질의 변화를 지목하고 연구결과를 지난해 1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공개하기도 했다. - doi.org/10.1371/journal.pmed.1004511 - doi.org/10.1001/jamanetworkopen.2024.5543 ... ...
렘수면 지연, 알츠하이머 징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교수 연구팀은 렘수면과 알츠하이머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27일 국제
학술
지 ‘알츠하이머협회저널’에 발표했다. 렘수면 단계에서 뇌는 감정이 담긴 기억을 처리해 장기 저장고로 저장한다. 이 과정이 지연되면 기억을 통합하는 뇌의 임무가 제대로 완료되지 않는다. 또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