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3
줄면 눈물이 적게 나와 그만큼 건조해지는 거야.컴퓨터 모니터를 볼 때는 20분 정도
본
뒤 20초 이상 쉬고, 이때 6~7m 떨어진 먼 곳을 바라보는 게 좋아. 또 스마트폰은 가능한 글자를 크게 해서 멀리서 보는 게 좋아. 밝기도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지 않게 적당한 밝기로 해야 해. 그리고 모니터나 TV는 ...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수학동아
l
201203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개인이 생각하지 않았던 사회 전체의 이익이 생긴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국가가 간섭하지 않고 내버려두면 자연스럽게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경제 상태가 된다고 생각했다.하지만 1930년대 세계 대공황이 오면서 이런 믿음이 무너졌다.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즈는 ... ...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03
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연구진은 탄소나노튜브로 한 겹의 벽을 만들어 시험해
본
결과 약 30%의 편광능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탄소나노튜브로 3겹의 벽을 쌓으면 테라헤르츠 영역의 빛을 99% 이상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03
개의 뾰족한 부분과 그 사이의 능선 하나만 있는 단순한 모양을 구상해 이론적으로 따져
본
것이다. 연구팀은 구길 때 들어간 에너지가 어디에 쌓이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에너지가 구겨진 종이에 골고루 분포해 있는 게 아니라 능선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구겨짐 현상은 물질의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03
얼른 정액을 뿌리죠. 개구리 알들이 투명한 젤리 같은 덩어리 안에 들어있는 모습은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알에서 발생해 나온 올챙이는 안타깝게도 대부분 천적들에게 잡아먹힌답니다. 그러다보니 개구리 가운데는 올챙이를 돌봐주는 종류도 있어요. 뒷주머니개구리(hip-pocket frog) 수컷은 엉덩이에 ... ...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03
“내일부터 회사에 나오실 필요 없습니다. 당신은 해고입니다.”“네? 도대체 왜죠?”“지난주에 받은 정기 MRI 검사에서 당신이 회사 기밀을 외부로 유출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경 ... 뇌공학 기술이 인류의 행복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도록 좋은 길을 제시해 주기를 기대해
본
다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03
잘하거나 글을 잘 쓰거나 문학을 잘하는 것도 이과 상위권 학생들이 가져야 할 기
본
덕목이야. 그리고 그냥 잘하니까 선택하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아. 잘하는 것과 재미있는 것 중에 어떤 걸 더 오래할 수 있을까?”“재미있는 거요.”같은 돈을 받고 일해도 재미있는 일을 하는 것과 먹고 살기 위해 ... ...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세요
과학동아
l
201203
온난화에 대해 연구하는 교수님의 강연을 들으면서 새로운 지식도 배웠다. 학교에서 못해
본
실험도 많이 했다.학교 선생님의 권유로 혼자 ‘과학관련 글 요약하기’도 시작했다. 과학동아의 과학기사나 인터넷에 나와 있는 과학자료를 읽고 요약하는 활동이었다. 처음에는 권유로 시작했지만 곧 ... ...
남극 열수구에서 미지의 생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3
받아 메탄과 황화물을 분해해서 먹고 사는 걸로 생각하고 있어요. 또 깊은 바다에서
본
적이 없는 포식성 불가사리 무리와 흰 문어들이 살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어요. 새로운 종을 발견해 연구하면 생명의 신비를 하나씩 밝혀낼 수 있답니다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03
큰 동물이 나타나면 도망치려 하지. 임주백 박사는 송사리의 포식자인 물새의 모습을
본
뜬 삼각형 조각을 송사리 머리 위로 지나가게 하고, 송사리들이 도망치는 모습을 관찰하는 실험을 설계했어. 단, 송사리가 반응을 보이는 포식자에 대한 변수는 포식자의 크기와 이동속도 2가지로 한정했어.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