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흉내 낸 인공신경망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우선 인공신경망에 쥐의 초음파 발성과 소음 데이터를 입력한 뒤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학습시키고 쥐가 내는 소리와 다른 소음을 구분하게 했다. 그런 다음 쥐의 초음파를 초음파 사진으로 바꿔 이미지로 만들었다. 자율주행차에 사용되는 이미지 인식 AI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90%의 확률로 맞췄다. (예지력+1) 가트맨 박사는 이런 식으로 30년 동안 연구를 진행하며 데이터를 모았다. 그리고 정량화할 수 없다고 여겨진 사랑의 영역에서 ‘사랑의 방정식’이라는 공식을 만들었다. 마치 트로트 노래의 제목처럼 직접적이면서 살짝 오글거리는 명칭이지만, 가트맨 박사는 이 ... ...
- [수학 기자의 책장] 다양한 기술 속 코딩과 수학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프로그램, 범죄자를 찾는 지문 검색 시스템 모두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술입니다. 빅데이터를 포함해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은 매일 뉴스나 신문에 등장할 정도로 주변 곳곳에 사용되고 있지요. 그런데 이 기술의 바탕에는 수학이 있습니다. 어디서 수학을 찾을 수 있냐고요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설명했다. 미국 시카고대 약대와 미국 일리노이대 공동 연구팀은 미국 국가행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09~2013년 18세 이하 미성년자의 자살 사건 2만1407건을 분석한 결과를 2018년 공개했다. 이 중 251건은 타미플루를 복용한 미성년자의 자살 사건이었다. 그런데 연구팀의 분석 결과, 자살의 원인이 ... ...
- [알고리듬 시그널] 완벽한 답을 찾기 어려울 땐 근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힘드니 어떤 기준을 정해서 분류하는 것이 좋아요. 한 방법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데이터를 점으로 표현해 평면에 나타낼 수 있죠. 예를 들어 견우네 반 친구들을 수학, 영어 실력이 비슷한 친구들끼리 한 조에 묶어 방학 보충수업 반을 짜려고 할 때, 영어 성적과 수학 성적을 평면에 나타내 ... ...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명확하게 나타나거든요. 연구팀은 현대인 4468명의 유전자와 뇌 자기공명영상(MRI) 데이터를 분석했어요. 우선 사람들의 뇌가 얼마나 둥글게 생겼는지를 측정한 후, 두개골의 모습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변이를 찾았어요. 그리고 이 변이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온 것인지 조사했지요. 그 결과, 1번과 ... ...
- [과학뉴스] 스모그 먹고 자란 박테리아가 미세먼지 된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서로 결합해 미세먼지 입자로 활동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야오 교수는 “우리가 분석한 데이터는 박테리아가 베이징 스모그 형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가리킨다”며 “이 연구가 향후 대기오염 관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바이오아카이브’ 1월 7일자에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있도록 했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고철 도시도 파나마의 실제 도시의 도로와 건물 배치 데이터를 토대로 작업해 현실감을 살렸다. 얼굴에 지는 그림자, 먼지에 의한 빛의 산란, 고도에 따른 색온도 변화 등도 모두 실제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감을 극대화했다. 김 슈퍼바이저는 “기술적으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화산 진단한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연구에 쓰는 수학적 도구입니다. 현재는 화산 밖으로 나타난 변화를 관측한 결과를 데이터로 사용하고 있어서 대략적인 예측만 가능합니다. 2018년 12월과 2019년 1월에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결과가 연달아 발표됐습니다. 캐서린 앤 프랑스 사보이 몽블랑대학교 연구원은 화산 폭발이 ... ...
- [수학뉴스] 머신러닝에도 괴델의 정리가?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합니다. 이때 광고로 어떤 사람이 유입될지 알 수 없는데, 최대 추정 모형은 소량의 과거 데이터만으로도 어떤 사람이 이 광고를 선택하는지 답을 찾아줍니다. 예후다요프 교수팀은 이 최대 추정 모형이 연속체 가설이 참일 때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만약 연속체 가설이 참이 아니라면 문제를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