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측정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이 9년간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감마선의 양을 알아냈다. 그 결과 광자의 총합은 약 4×1084개로, 동양에서 가장 큰 숫자단위인 무량대수(1068)보다도 약 4경 배 많았다. 연구팀은 약 100억 년 전에 별 생성량이 최대치를 ... ...
- [과학뉴스] 보이저 2호, 태양계 넘어 성간우주 진입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호에 실린 플라스마 측정 장비(PLS)의 데이터와 우주선(cosmic ray) 감지 시스템, 자력계 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8년 11월 5일부터 플라스마 전류와 방사선 검출기에 충돌하는 태양풍 입자의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고, 현재는 전혀 측정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반면 태양권계면 바깥에서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했습니다. 한국인이 잘 걸리는 질병을 효율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한국인 50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와 서양인의 유전체 표준(GRCh37)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는 2018년 4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공개됐습니다. doi:10.1038/s41598-018-23837-x 현재는 한국인 1만 명 이상의 유전체를 ...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한다”고 수료 비결을 공개했답니다. 내 기록이 논문으로, 사진전으로! 대원들이 모은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될까요? 지난 3년 동안 화분매개자 기록을 분석했다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의 오통스 세레 연구원은 “지사탐 덕분에 뒤영벌이 서울 지역에 고루 분포해 살지 못하고 여러 ... ...
- [과학뉴스] ‘인사이트’ , 화성의 소리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진계와 열탐사 장비 등을 설치할 최적의 장소도 찾을 예정이다. 이를 통해 관측한 데이터는 인사이트와 함께 발사된 책가방 크기의 소형 중계위성 ‘마르코(MarCO)’ 두 대를 통해 지구로 전송된다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 2018. 12. 08 달의 뒷면을 노리다 미지의 땅인 달 뒷면에서 ‘창어 4호’가 지구로 데이터를 보낸다. 중국은 2018년 12월 8일 창어 4호를 ‘창정 3B’ 로켓에 실어 올리며 세계 최초 달 뒷면 착륙을 노리고 있다. 달 뒤편은 지상과 교신이 어려워 착륙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중국은 달과 ... ...
- 돼지 게임 전략? 수학으로 찾으면 되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각 모습이 나타날 확률을 계산해 공개했습니다. 2015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살고 있는 데이터과학자 데인 배튼은 이 결과를 이용해 최선의 전략을 찾는 데 도전했습니다. 돼지 2마리의 특정 조합이 나올 확률을 계산했고, 기댓값을 구했지요. 그 결과 패스 더 피그의 경우 한 순서 당 22.5점에서 ... ...
- Part 2. 스마트팜, 미래엔 농사도 두뇌 노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모르시는 말씀. 앞으로는 몸보다 머리를 쓰는 게 농부의 일이 될 거라고! 스마트폰과 빅데이터, 인공지능이 농장에 지난 2월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2세대 스마트팜을 올해 개발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스마트팜’이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농장을 말해요. 스마트팜의 형태는 ... ...
- [출동! 기자단] 카이스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 게임을 하면서 연구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경우 게이머보다 클릭 위치가 훨씬 넓게 퍼져 있었어요. 정밀도가 떨어진 거죠. 이런 데이터를 모아 마우스 실수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마우스 클릭 실수를 줄일 수 있어요. 또, 사람처럼 총을 쏘는 인공지능을 만들어 게임을 연습할 수도 있지요.” 컴퓨터와 인간을 이어주는 기술, HCI ... ...
- [지구를 위한 과학] 고기를 만나러 강으로 갈까나~♪♬ 성무성, 김정훈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건, ➋생물종을 기록하는 네이처링 앱 기록 100만 건, ➌하천 지도 따라 점 찍기, ➍측정 데이터 1000만 개체, ➎물고기 지느러미 DNA 표본 만들기. 김 내년부터는 대학원 실험실에서 민물고기 유전적, 생태적 연구를 할 예정이에요. 물고기를 지키고 싶어도 정식 연구자가 아니라 나서지 못하는 경우가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