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수학계의 베토벤 레온하르트 오일러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전세계 많은 사람이 읽었다고 하더군요. 제가 바로 공주의 선생님이에요. 수학의 모든 분야를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데요, 기억에 남는 연구가 있나요? 1736년 러시아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의 섬과 강변 사이에 놓인 7개의 다리를 점과 선을 이용해 간단히 그래프로 나타낸 거요! 이 방법이 ... ...
- [기획] 수학 교과과정 개정에 대한 또 다른 의견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변화들> 1. 초6부터 고교학점제 시행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생이 되는 2025년에는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진로나 적성 등에 맞춰 다양한 과목을 스스로 골라 듣는 제도로, 누적학점이 기준에 맞으면 졸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학교와 같은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인터뷰 - 김선 미네르바대학교 합격생, 수학동아로 세상에 다가서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미네르바대학교 학생들이 스스로를 일컫는 말입니다. 미네르바대학교는 캠퍼스 없이 모든 수업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대학교로, 하버드대학교보다 입학 경쟁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죠. 김 작가는 기자를 만나자마자 “수학동아와 추억이 많다”며 연신 반가워했습니다. 그리고 수학동아에 대해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새로운 글꼴이 계속 등장했다. 황제의 위엄이 담긴 웅장한 글꼴, 대량 인쇄에 적합하도록 모든 획이 빠짐없이 두꺼워진 글꼴, 세로에서 가로로 쓰기 방향이 바뀌며 기준선이 변한 글꼴 등 시대의 요구에 따라 제각기 다른 형태가 나왔다. 최근에는 디지털 환경이 글꼴 분야의 화두다. 글꼴에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웅장해졌다.고정환 항우연 발사체개발본부장은 “발사라는 것은 하나만 잘못돼도 모든 게 수포로 돌아가는 고위험 작업이라 긴장을 놓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위성이나 발사체는 큰 예산이 투입되는 작업이기 때문에 한 번의 실패가 큰 손해로 이어질 수 있다. 고 본부장은 “나로호 발사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다른 환경이 필요해요. 각 종의 습성에 맞는 바닥이나 구조물이 있나요?모두 있지는 않다모든 개체가 햇빛을 피할 그늘이 있나요? 모두 있지는 않다마실 물이 깨끗하고 충분하게 제공되고 있나요?아니다 대원 한마디 토끼들은 설가타육지거북, 기니피그와 함께 살고 있었습니다. 바닥은 흙이 ...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있는 현장도 담았답니다. Q 다양한 기술이 쓰였다던데?은 모든 기술의 집합체예요. 레고 부품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LED를 사용했어요. 아두이노로 빛을 조절하고, 전선은 레고 안으로 숨겼죠. 건축 기술도 적용됐어요. 받침이 없는 긴 천장 내부에 단단한 철제 기둥을 ... ...
- [특집] 수학의 신이 꼽은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숫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완성이라는 의미를 담았어. 수학자 김향숙 인제대학교 교수님은 “피타고라스는 이 모든 수를 합한 10을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숫자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어. 10이 완벽한 숫자인 이유는 또 있어. 10은 삼각수이면서 사면체수였던 거야. 물건을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했을 때 물건의 총 개수를 ... ...
- [매스미디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변신하기도 한다. 심지어 무한대(∞) 모양을 그리면 반구 모양의 방어막이 완성된다. 모든 물리법칙을 거스르는 텐 링즈의 위력을 영화에서 확인해보자. 용의 피부엔 ‘피보나치 수열’이 숨어있어! 영화에서는 샹치(시무 리우)가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엄마와 함께 색종이로 ‘용’을 접어 ... ...
- [매스크래프트] #22. 초대형 케이크, 공평하게 나눠 먹으려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음식을 먹을 때마다 고민되는 게 있습니다. 바로 ‘어떻게 공평하게 나눌까?’입니다.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케이크를 나눠 먹기 위해선 어떻게 케이크를 잘라야 할지 알아볼까요?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 우선 높이를 고려하지 않고 평면에 놓인 원 모양의 케이크를 편집팀 6명이 나눠 먹는다고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