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글꼴에 둘러싸인 일상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년 표지판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됐다. 서울남산체를 사용하는 서울을 제외한 모든 도로 표지판에 적용됐다. 받침이 있을 때 길이가 길어지는 탈네모꼴이 적용됐다. 글자의 여백을 충분히 확보해 글자가 뭉쳐 보이는 현상을 개선했다. 블랙레터(Blackletter)12세기부터 16세기 서유럽에서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연구원이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한 2016년 실험에서는 모든 글자 크기 조건에서 바탕체가 돋움체보다 읽는 속도가 빨랐다. doi: 10.5392/JKCA.2016.16.11.661박윤정 국민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한글의 영역에서 바탕체는 오랫동안 글자 세계를 지배해 왔다”며 “익숙함이 ... ...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시작해 2012년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했다. 스마트는 안전 시스템을 모두 없애진 못했지만, 모든 장치를 한 원자로에 담았다. 전기 출력은 100MWe(메가와트일렉트릭〮1MWe는 100만W의 전기 출력)로, 당시 건설된 신월성 1호기의 10분의 1 수준이다. 김 교수는 “스마트 원자로 개발로 한국은 소형원자로 선두 ... ...
- [과동키즈] 이제는 없는 얼굴을 위하여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머리카락의 색깔, 성격, 식습관, 즐겨 입은 의복의 재질에 관해서까지 찾을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찾았다.문헌 자료와 함께 시각 자료도 수집했다. 사실적인 묘사를 하려면 관찰할 만한 참고 이미지가 있어야 한다. 공룡을 실제로 볼 수는 없으니 팔레오아티스트는 새, 악어, 도마뱀 등 공룡과 비슷한 ... ...
- [이달의 책] 한국형 천재의 시대는 끝났다 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교육방식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대학에서 배운 지식의 유통기한은 점차 짧아지고, 모든 정보가 디지털화된 세상에서 필요한 지식을 머릿속에 담고 빠르게 답을 내놓는 식의 능력이 꼭 필요할까. 손바닥만 한 스마트폰으로 온갖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대에 한국형 천재가 설 자리는 점차 ...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전 센터장은 “모든 온실가스 배출원에 굴뚝자동측정기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완적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근거한 산정 방법을 계속 개선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수치와 큰 오차는 없다”고 ... ...
- 야생동물 구조작전 feat. 장마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동물이 실내에 머문 것 역시 구조센터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다행히 공간을 확보해 모든 동물을 실내에 수용할 수 있었지만, 계속 이렇게 있을 수는 없었다. 홍수 피해를 입은 곳을 최대한 빨리 보수해야 했다. 가장 먼저 살펴본 곳은 배수구였다. 배수구를 넓힐 순 없었기에 여러 곳에 추가로 ... ...
- [이공계 인터뷰] 첨단산업의 출발점 반도체 엔지니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8월 2일 경기 이천 SK하이닉스 본사에서 최 TL을 만났다. 반도체는 산업의 쌀로 불린다. 모든 산업에서 반도체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다. 품질 좋은 쌀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농부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좋은 특성을 가진 종자를 개량하는 일이 먼저다. 반도체도 마찬가지다. 반도체 설계 ... ...
- [이달의 책] 인공지능과 공존하고 싶은 인간을 위한 지침서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줄어든다는 것이다. 다이어트가 그렇게 쉬웠으면 왜 많은 사람들이 실패를 경험할까. 모든걸 ‘의지 부족’으로 치부하기에는 더 복잡한 문제가 숨겨져 있는 듯하다.20년 이상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병원에 근무 중인 저자는 ‘우리는 왜 항상 식욕과의 싸움에서 패배하는가’라는 질문에 ... ...
- 호영이의 고민 │ 친구가 꼭 필요할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모두 매우 강하게 느끼거든요. 또 혼자가 편한 친구에게도 우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모든 인간에게는 의지할 수 있고 나를 기쁘게 만들어 줄 사람이 필요하거든요. 친구가 몇 명인지는 중요치 않아요. 그런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돼요. 어수동 친구들이 ‘건강한 우정’을 다지길 바라요.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