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하고, 아름다운 보석을 찍은 것 같기도 해요. 눈 덮인 겨울산 | 눈 덮인 산을 상공에서 본 것 같죠? 비타민 C가 만들어 낸 추운 겨울에 딱 어울리는 사진입니다. 자세히 보니 평면을 수학적으로 나누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처럼 보이기도 하네요. 역시! 수학은 어딜 가나 빼놓을 수 없습니다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샘’이 있지요. 오늘 전시관에서 처음 본 바로 그 작품이요! 그런데 과연 샘을 처음 본 사람들이 ‘역시 뒤샹! 그의 명성에 맞는 참신한 작품이로군~!’이라고 했을까요? 샘은 1917년에 열린 미국 뉴욕의 독립예술가협회의 첫 전시에서 등장했습니다. 뒤샹은 과연 독립예술가협회가 수용성이라는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세계적으로 이 정도 사양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은 거의 없습니다. 미국에 하나, 일본에 세 개 정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아직 저도 만들지 못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용감하게 도전해 성공하기에는 확률이 너무 낮아 보입니다. 그렇다고 해보지도 않고 포기하는 것도 옳지 ... ...
- Part 1. 수포자 문제, 어떻게 하면 좋을까?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적다’고 반장들은 입을 모아 말했습니다. 안타까운 상황이지만 아직 희망이 있다고 본 반장들은 수포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써볼 수 있을지 각자 생각해온 아이디어를 가지고 토의했습니다. ● 통합 의견 수학이 마냥 재미있고 쉬운 과목이 아닌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등장하는 주인공 가제트)가 머리에서 갖가지 팔을 꺼내 온갖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본 거예요. 그래서 돈을 아주 많이 벌어서 저런 로봇을 사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하지만 머지않아 그런 로봇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았지요. 그래서 로봇을 직접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때 숨겨진 진실을 알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피카소는 기를 쓰고 여러 각도에서 본 모습을 한 캔버스에 담으려고 했던 것이지요. 피카소는 다각도를 담은 입체주의 방법을 정립한 뒤에 드디어 완전한 형태를 그렸다고 생각했습니다. 이후 피카소와 함께 영감을 주고받은 브라크, 로베트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궁극적인 목표”라고 말했다. 현재 우주 기술 개발의 화두 중 하나는 저비용이다. NASA,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JAXA) 등 정부 기관이 달에 궤도선이나 착륙선을 보내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최소 5000만 달러(약 560억 원) 이상이다. 요시다 교수는 “아이스페이스는 이론적으로 달 탐사 비용을 10분의 1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결과가 나왔습니다. 먼저 램지 수가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합시다. 혹시 이런 문제를 본 적이 있나요? 이것이 램지 수의 가장 간단한 경우 중 하나로, 답은 6명입니다. 그중 한 명의 이름을 충재라고 할게요. 그러면 나머지 사람 5명 중 충재의 친구가 3명 이상이거나 충재와 친구가 아닌 사람이 3명 ... ...
- Part 2. 달은 지구촌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첫 번째 정거장, 달에 도착했습니다. 2019년은 인류가 최초로 달 표면을 두 발로 밟은 지 50년이 되는 해랍니다. 달 착륙 5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여 ... 개발하겠다고 밝혔어요. 바야흐로 다양한 국가와 기업이 달을 향해 탐사선을 띄우는 ‘본격적인 달 탐사 시대’가 열리고 있는 거예요 ...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바가 거의 없어요. 우주 전체의 27%를 이루고 있을 만큼 거대한 양이지만, 이 물질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죠. 1년 전,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이 우리은하에 있는 10억 개의 별을 탐사하던 중 은하를 역주행하며 태양계 근처를 지나치는 한 무리의 별을 발견했어요. 그리고 최근 스페인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