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생명체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생명체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5백단어짜리 기사를 만들어 보내달라는 요청이었다.
천문학자
는 순순히 응낙하고 곧 기사를 보내왔는데, 기사에는 “아무도 모른다”(Nobody knows)라는 두 단어만 2백50번이나 되풀이해 쓰여 있었다고 한다.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은 아직 많은 문제에 ... ...
백조의 머나먼 여행은 시작되고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노란색의 5등성과 6등성으로 이루어진 이들은 작은 망원경으로 쉽게 구분된다.1838년 독일
천문학자
베셀 (F.W. Bessel)은 삼각 측량으로 이 별의 연주시차(지구가 공전궤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생기는 시차)를 측정해 최초로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해냈다. 이 별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 중 4번째로 ... ...
화성을 향한 인류의 짝사랑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하는 것은 아직도 민감한 문제다. 바이킹 탐사 이후 고등생명체가 존재하리라고 믿는
천문학자
는 거의 없지만, 비록 하등생명체의 형태로라도 존재만 한다면 이는 태양계에 대한 우리 인식의 혁명적 변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최근 화성에서 날아왔다고 보는 운석에서 생명체와 관련된 유기물이 ... ...
혜성충돌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사실에 학자들은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그건 아무 것도 아니었다. 혜성의 궤도를 계산한
천문학자
들은 경악해야 했다. 혜성이 곧장 지구를 향하고 있었던 것이다!이 소식은 곧 전세계로 퍼져나갔고 세계는 혼란 속에 빠져들었다. 유엔은 즉시 지구방위 회의를 소집했다. 회의는 한달이나 이어졌지만 ... ...
소저너 탐사일지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칼 세이건 기념기지’(패스파인더 착륙지점을 뜻하며, 지난해 12월 세상을 떠난 행성
천문학자
칼 세이건을 기리기 위해 명명됨)가 화성북위 19.33도, 화성서경 33.55도에 위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덟째 날(7월 11일) 수신기 고장패스파인더의 수신기가 작동하지 않았다. 지난 밤부터 패스파인더는 ... ...
여름밤 은하수 위를 훨훨 나는 독수리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뒤집어놓은 듯한 'M'자 모양의 작은여우자리가 있다. 17세기 말 폴란드의
천문학자
헤벨리우스(1611-1687)가 만든 별자리로 원래 이름은 '거위를 문 여우'였다. 작은여우자리 중앙에는 거문고자리 고리성운(M57)과 더불어 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성상성운이 자리잡고 있다. 마치 운동기구를 연상케 ... ...
유럽을 구한 십자가 방패자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위해 1690년 하늘에 찬란한 십자가가 새겨진 소비에스키의 방패를 걸었다. 이것이 폴란드
천문학자
인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독수리자리와 사수자리 사이에 만든 방패자리다.방패자리는 88개의 별자리 중 84번째에 해당하며, 하늘에서 가장 작은 별자리에 속한다. 북반구 하늘에서는 화살자리와 ... ...
신비 고고학으로 치장한 백인 우월주의 스타게이트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서양인들은 오랫동안 동양의 문화에 대해 ‘신비’라는 수식어를 붙여 왔다. 그것은 서양인들이 처음 동양의 문명을 접했을 때 느꼈던 낯설음에 대한 경배일 수도 있다.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3천년간 번성했던 고대 오리엔트 문명은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유럽이 통일된 후 서양 문명 전반에 ... ...
은하계 중심 사수자리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산광성운이다. 1680년 영국의 플램스티드가 성운으로 처음으로 언급했다. 그러나 후에
천문학자
메시에(1730-1817)가 ‘구름처럼 보이는 커다란 별무리’로 기술한 것으로 보아 성운 속에 보이는 산개성단 NGC6350을 M8로 착각한 것으로 보인다. NGC6350과 M8이 어떤 물리적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는 아직까지 ... ...
Ⅱ. 블랙홀 과학사 : 1. 파란만장한 블랙홀 자서전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해 주위에서 빛이 휜다는 사실조차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1919년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
였던 영국의 에딩턴(1882-1944)이 지휘하는 아프리카 개기일식 관측팀이 그 사실을 관측해내자, “아인슈타인은 옳았다”(Einstein was right!)는 머릿기사가 신문 1면을 장식하는 등 세계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