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 건국의 상징 「천상열차분야지도」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천상열차지도'와 천문분야지도'가 전해오고 있다. 이 천문도는 에도(江戶)시대의 대표적
천문학자
인 시부카와 하루미(攝川春海, 1639-1715)가 만들었다. 일본에서 만든 천문 도록집에는 이 천문도를 제작하면서 "조선의 것을 모방했다"고 적고 있다. 시부카와는 일본인으로서 처음으로 정향력(貞享曆 ... ...
태초 우주 비밀 밝힐 원시헬륨 발견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공간은 물질로 차 있다. 그 양과 성분은 우주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천문학자
들은 은하들이 품고 있는 별이나 성간구름에서 나오는 빛을 관측해 그들이 주로 수소나 헬륨으로 이뤄져 있음을 알아냈다. 한편 외부 은하가 우리에게서 멀어져 간다는 관측 사실에 밑바탕을 두고 제기된 ... ...
한국말로 지은 화성 금성 지명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이 행성의 연구에 정열을 쏟았던 스키아파렐리와 로웰, 그리고 고대 그리이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쿠스의 이름을 딴 분화구가 있다. 한편 작은 분화구에는 지구상의 지명을 붙였는데 여기에는 '낙동'이나 '나주'와 같은 한국 지명도 포함되었다. 낙동과 나주가 나타난 두 장의 사진은 바이킹 1호와 ... ...
20세기 천문학의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부설 천문대'를 광복 50주년을 맞아 '한국천문대'로 독립시켜 달라는
천문학자
들의 주장이 '이유없는 반항'으로만 해석되는 과학기술계의 현실에 대해 할 말이 없다.우리 민족은 우주와 하늘의 섭리를 이해하고 따르려는 선비 정신을 간직한 '우주 민족' '하늘 겨레'다. 우리나라 ... ...
4. 천문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60년대의 과학로켓은 고노 1백km이상에서 수분 정도 머무르는 것이 고작이었으므로
천문학자
들의 갈증을 풀어주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Sco X-1 발견 후 8년이 지난 1970년, NASA(미국항공우주국)에서는 본격적으로 X선 천체 사냥에 나섰다. 우후루인공위성이 적도상공 케냐의 한 해변에서 발사됐다. ... ...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하게 감지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대왕시대의 역사가인 안드로스틀로네스(Androstlones)에 의해 관찰되었다. 프랑스의
천문학자
인 드 마랭(De Marain)은 1729년 잎운동의 일주기리듬과 명암주기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미모사를 재료로 하여 조사했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다윈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바 있다.1875년부터 1915년에 ... ...
독수리 주변의 5형제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이름은 '소비에스키의 방패'이다. 존 소비에스키는 폴란드의 왕이었으며 그를 존경한
천문학자
헤벨리우스가 붙인 이름이라고 전한다.방패자리에는 M11과 M26, 두개의 구상성단이 있는데 M26보다는 M11이 더 밝다. M11에는 15등급보다 밝은 별이 6백개가 넘기 때문에 달이 없는 청명한 밤에 맨눈으로 볼 수 ... ...
2 거대타원은하 내 가장 오래된 별은 200억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항성진화모델의 진보에 힘입어 매우 정확하게 구상성단의 나이를 계산할 수 있다.
천문학자
들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은하 내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구상성단은 약 1백50억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즉 우주의 나이는 최소한 그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완벽(?)에 가까운 ... ...
태양계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구름, 두 개의 거대한 검은 점(dark spots)등 놀라운 기상현상들이 속속 확인되었다. 행성
천문학자
들은 이로부터 상층대기의 바람이 초속 3백25m의 속도로 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특히 해왕성에서 가장 큰 '대흑점'(the Great Dark Spot)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 이유는 이 점이 목성의 대적점과 비슷하고 ... ...
초신성 폭발 메커니즘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지적했다. 이 비대칭은 초신성의 주요한 현상인 것이다.
천문학자
들은 이것이 오늘날 관측결과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그것은 SN1987A로부터 쏟아지는 물질속에서 탐지한 니켈 '총알'과 오래된 초신성의 잔해에서 보았던 '파편'의 양상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