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학자"(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않으면 그 이론은 허상에 불과하다. 이런 관점에서 90년대 중반 우주구조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은 암흑물질 우주론이라는 아름다운 모델은 '재미있는 실패작'이라는 씁쓸한 평가를 감수해야만 한다. 여기서 필자는 자연을 이해하려는 과학자들의 노력과, 차가운 자연현실이 보여주는 갈등을 ...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과학동아 l1995년 06호
- 많은 양의 암흑물질이 있을 것이라고 사람들이 믿고 있다. 우주론 분야에서 많은 이론 천문학자들이 선호하는 밀도인자의 값도 1이다. 이 경우에는 우주의 나이 문제가 심각해지므로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자세한 내용은 PART III '우주론과 우주나이' 참조).우주상수는 역사적으로 1917년에 ... ...
- 인터네트로 떠나는 우주여행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에 대한 소개와 진행상황, 호주의 천문학회 게시판, 국제 천문학회 게시판과 소식, 천문학자들의 인적사항이나 주소를 알아낼 수 있는 서비스,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진이나 자료들의 데이터베이스 등이 제공되고 있다(ATNF ; http://www.atnf.csiro.au/ATNFHomePage.html) 거미줄을 타고 ...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10, 11호에는 우주인에게 보내는 그림엽서가 도금된 알루미늄판에 새겨졌다. 미국 행성천문학자이며 '코스모스'의 저자인 칼 세이건의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이 그림엽서(18×22㎝)에는 남녀 나체상과 태양계 속에서의 파이어니어 궤도, 수소의 원자구조 등이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세이건의 아내인 ...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점점 더 복잡한 천체의 메커니즘을 고안함으로써 태양계의 지구 중심관에 맞추었던 중세 천문학자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어긋나는 개념들의 혼란과 우주의 대부분의 것을 찾는데 대한 계속되는 실패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신봉한 낙관적인 가설, 즉 "우주는 이해할 수 있다"는 과학의 신념에 ... ...
-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시작하면서 이에 대치할 새로운 가설 '행성 X설'이 등장하게 되었다. '행성 X'는 일부 천문학자들이 해왕성과 천왕성 운동의 섭동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미 19세기말 무렵부터 해왕성 바깥에 그 존재를 예견해왔다. 이 가상의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5천 6백만년 주기의 기울어진 타원 궤도를 ...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은하핵 등을 다룬다. 그러나 이런 천체들은 절대 자외선 천문학의 독과점 품목이 아니다. 천문학자는 여러 파장영역을 통한 관측을 통해 별이나 은하에 대한 종합진단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의사가 X선 촬영 결과만을 가지고 환자의 모든 것을 얘기할 수 없는 이유와 같다.자외선에는 특히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많은 숫자는 아니지만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의 수치인 것만은 틀림없다. 그러나 행성천문학자이며 '코스모스'의 저자인 칼 세이건은 드레이크방정식에 자신의 믿음대로 숫자를 대입해 1백만개라는 답을 발표한 바도 있기 때문에 10만개가 결코 황당한 숫자는 아니라는 것이 낙관론자들의 주장 ...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몇편은 누이동생 파니의 작품이었다. 또한 퀴리 부부와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긴스와 그의 아내 마가렛의 경우처럼 부부 공동연구의 사례도 풍부하다. 그러나 아인슈타인과 밀레바가 공동연구를 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내 마누라가 내 수학"1943년 아인슈타인은 ...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이집트 나일강변의 토지측량에서 출발한 유클리드기하학은 정·반·합의 과정을 거쳐 우주의 구조를 밝히는 리만기하학으로 성장했다.교과서적으로 말한다면 기하학이란 '도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도형에 관한 연구는 이집트 바빌로니아 등 오리엔트의 대제국에서 발생했다. 대제국을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