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징"(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분야다. 가장 많이 연구돼 있어 정확도가 높기도 하거니와, 가장 쉽게 눈에 드러나는 특징이기 때문이다. 현재 혈액의 DNA를 이용해 가장 정확하게 연령 추정이 가능한 모델은 미국 UCLA 생물통계학과 스티브 호바스 교수가 2013년에 발표한 모델이다(과학동아 5월호 특집 기사 참조). 호바스 교수는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개발한 로봇은 바퀴벌레가 몸을 원래보다 20% 가량으로 납작하게 만들 수 있다는 특징에 착안했다. 이 로봇은 외골격이 마치 트럼프카드를 여러 장 펼친 듯한 모양이다. 판들이 서로 겹쳐 지면서 몸을 절반가량 납작하게 만들 수 있다.연구팀들은 산사태나 지진, 또는 대형 화재처럼 사람이 들어가기 ... ...
- 스마트폰이 문자 읽는 비결은?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모음+자음+자음결합 등 총 여섯 가지 중 하나이므로 쉽게 자음과 모음을 구분할 수 있다.특징점★ 선분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바뀌거나 선분이 둘로 나뉘는 지점. 권영빈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문자가 26개인 알파벳에 비해 한글은 1만 1172자나 되고, 모음과 자음을 한데 모아 글자를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수원청개구리를 포함해 제비, 화분 매개자, 민물고기 등 앞으로 탐사할 생물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배우는 시간이 마련됐어요.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정다미 연구원은 “지사탐 활동을 통해 점점 서식처를 잃고 있는 제비를 지켜줄 수 있다”고 강조했지요.올해 처음으로 지사탐과 함께하는 연구자도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보고 악어를 구분하는 문제가 주어진다면, 뾰족한 얼굴이나 날카로운 송곳니 같은 특징과 악어라는 답을 강하게 연결하는 거예요. 인공지능은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정확도를 높인답니다.구글은 2012년 딥러닝 방식으로 인공지능에게 수많은 사진을 학습시켜, 이미지를 구분해내는 데 ...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원칙에 따라 성장한다. 분리성은 한 가지의 성장이 다른 가지의 성장과 무관하다는 특징으로, 이 덕분에 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반응해 생존할 수 있다. 자기유사성은 마치 프랙탈처럼 모든 식물이 근본적으로 같은 모양을 공유한다는 성질이다.이전 연구에서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수상돌기와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발음을 가진 단어를 반복해 리듬을 만드는 일은 ‘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특징은 한자로 만들어진 중국의 전통시 ‘한시’에서 두드러진다. 한시 중에서도 당나라 이후에 만들어진 ‘근체시’를 보면 전체 4개의 행 중 짝수 번째 행의 끝에 비슷한 발음의 글자를 배치해 리듬을 만든 것을 ... ...
- [과학뉴스] 새로운 족보를 갖게 된 공룡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물론 다른 공룡보다 작은 앞니, 어금니처럼 규칙적으로 놓인 치아 등 21가지의 해부학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지요.즉, 티라노사우루스가 브론토사우루스보다 트리케라톱스나 스테고사우루스와 더 가까운 관계라는 거예요. 연구팀은 이들을 묶어 ‘오르니소스켈리다(Ornithoscelida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2. 살아있는 이공계 진로 정보! ‘전공과 진로’ 콘텐츠 신설● 공대, 자연대의 전공 특징과 진학 노하우, 교과과정, 헤드헌터가 바라본 전망을 한눈에 볼 수 있게 구성했습니다. 관련한 기사도 함께 볼 수 있어요.● 서울대 공대, KAIST, DGIST, UNIST, GIST, POSTEC 등 주요 대학의 연구실을 탐방한 기사를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그리고 오랑우탄이 있습니다. 그 결과 오랑우탄이 인간의 특징을 가장 적게 갖고 있고, 보노보와 침팬지의 DNA는 98% 이상이 우리와 같았습니다.이런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은 인류가 어떻게 나뉘었는지 알 수 있게 됐습니다. 인류 집단의 이동도 알게 된 것이지요.지난 7월 1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