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성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기질
d라이브러리
"
특징
"(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크게 웅크렸다가 ‘一’자로 쭉 피며 앞으로 나아가요. 그런데 사실 애벌레마다
특징
이 있답니다.애벌레의 움직임이 바닥의 마찰력과 연관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 일본 도쿄대학교 타쿠야 우메다치 박사팀은 애벌레 로봇을 직접 제작했어요. 이 로봇 안에는 촉감을 느끼는 센서가 들어 있어서 바닥의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창의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음악의 리듬과 멜로디, 화성과 같은 주요
특징
을 새로움과 본보기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된다는 것이다. 예술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수학과 수학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음악의 미래가 기대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딴따라 수학과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뉴질랜드의 물리학자이자 군사이론가인 숀 고울리는 무질서해 보이는 현대 전쟁에서
특징
을 찾아냈다. 뉴스에서 보도한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현대 전쟁이 일관된 경향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고울리는 언론에 공개된 데이터와 통계만을 이용해 현대 전쟁 경향을 분석했다. 가장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안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찾는 계산 모형이다.하모니 서치가 모방한 즉흥연주의
특징
은 ‘기억’이다. 재즈 연주자는 좋았던 연주를 기억했다가 즉흥연주에서 반복한다. 그러다 지루하면, 좋았던 연주를 조금 바꾸거나 완전히 새로운 연주법을 시도한다. 그중 좋은 건 다시 기억한다.처음에는 ...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좁은 틈을 통과할 때 다리의 각도를 낮추고 보폭을 줄이는 등 걸음걸이를 변화시키는
특징
이 있답니다. 크램 역시 좁은 틈에 들어갔을 때 ‘L’자 모양의 다리를 넓게 펴서 앞으로 걸어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앞으로 크램을 인명 구조용 로봇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한국산 바퀴벌레 ...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개발되고 있다. 기계전 군용 로봇도 개발하고 있다. 로봇 항공기인 무인기부터 생물의
특징
을 모아 만든 하이브리드형도 있다. 로봇은 사람이 들어가기 힘든 지역이나 지뢰밭에 들어가 지뢰 제거와 수송, 경계와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 인간형 지능을 가진 휴머노이드 로봇도 개발 중인데 사람을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불교문화가 발달했던 백제에는 사찰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사찰 지붕에는 백제문화의
특징
이 담겨 있습니다.백제시대 기와는 주로 연꽃 모양으로 만들었습니다. 8개 잎이 달린 연꽃 모양 ‘수막새’ 기와에는 4개 잎에 ‘대왕대부’라는 글자가 적혀 있습니다. 왕의 무덤에서 나온 화려한 금속 ... ...
[과학뉴스] 만성 B형 간염, 잘 안 낫는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B형 간염바이러스(HBV)는 치료를 해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만성간염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
이다. 김균환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약리학교실 교수팀이 마우스 모델과 사람의 간세포를 이용해 HBV가 어떻게 사람의 면역 기능을 회피해 만성 질병으로 남는지를 밝혔다.연구팀은 단백질 질량분석법을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시간인이신가요?”그 누군가는 아까 전차에서 같이 내린 공무원이었다. 여자의
특징
없는 동그란 얼굴은 미나가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호기심으로 차 있었다. 추운지 두 손을 주머니에 넣고 발을 구르던 여자는 미나가 가볍게 고개를 끄덕이자 씨익 웃었다.어떻게 눈치를 챘을까. 시간인들은 ... ...
[과학뉴스] 키를 조절하는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방해한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우선 연구팀은 전세계의 실험 참가자 71만 1428명의 신체적
특징
과 유전자 정보를 수집했어요. 그리고 이미 알려져 있는 약 20만 개의 유전자 변이와 비교하고 분석했지요. 그 결과, 사람의 키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 83가지를 알아냈답니다.이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