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6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형성 영역 깊숙이서 쌍성계 만드는 원시별 생생하게 포착
연합뉴스
l
2020.06.10
지름 정도 거리를 두고 서로를 360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논문 공동
저자
인 MPE의 하이메 피네다 박사는 "이번처럼 형성 초기 단계에 있는 쌍성계 별의 전체 궤도까지 파악한 것은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파올라 카셀리 MPE 소장은 "이번 관측 결과로 마침내 가장 깊은 곳에 ... ...
"노년에 부정적 사고 반복하면 치매 자초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0.06.08
우울증이나 불안증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단백질 축적과 상관이 없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UCL 정신의학과의 나탈리 마켄트 선임 연구원은 "우울증과 불안증에 내재하는 특정 사고 패턴이 치매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기저 원인이라는 걸 밝혀냈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우울증과 불안증의 ... ...
고대 화성도 토성처럼 고리 가져…달 포보스 고리 '출신'
연합뉴스
l
2020.06.05
볼 때 화성이 만들어질 때 같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논문 공동
저자
로 참여한 퍼듀대학의 데이비드 민튼 교수가 지난 2017년 발표한 논문에서 안쪽 궤도의 위성 포보스가 화성과의 중력작용으로 고도를 잃으며 행성 쪽으로 끌려들어 궁극에는 갈가리 찢겨 고리를 형성하게 될 ... ...
열성 변이 가진 '베토벤 생쥐', 크리스퍼 가위로 교정 성공
연합뉴스
l
2020.06.05
생후 4주쯤 됐을 때 유모세포가 빠르게 퇴화해 극심한 난청이 온다. 이번 연구에
저자
로 참여한 하버드 의대의 제프리 홀트 이비인후과 교수는 유전자 요법을 사용해 생쥐의 TMC 1 관련 난청을 성공적으로 치료했다. 하지만 유전자 요법은 지속적인 효과를 담보하지 못했다. 회복한 청력을 평생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비즈니스 모델과 과학계의 파국
2020.06.04
비정규직의 이분화로 치닫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괴짜 경제학》의
저자
스티브 레빗은 시카고 마약판매상들은 왜 엄마와 같이 살까라는 주제를 설명하면서 마약을 거래하는 마약상들의 생태계가 극단적으로 이분화돼 마약유통상은 큰 이익을 취하는 반면, 길거리에서 마약을 ... ...
'작은 것이 맵다'…구경 6㎝ 망원경으로 41광년 밖 행성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3
것으로 전해졌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아스테리아 프로젝트 과학자인 논문 제1
저자
메어리 크냅 박사는 "과학 탐사에 최적화하지도 않은 작은 망원경을 갖고 어려운 목표물을 추적한 끝에 간신히 이뤄낸 것이기는 해도 결국 잡아냈다"면서 "이번 논문은 아스테리아 미션의 동기가 된 개념, 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관점에서 쉽게 이해가 가지만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스타틴은 어떻게 효과를 낼까.
저자
는 콜레스테롤이 세포막을 이루는 주요 성분이므로 스타틴 복용으로 콜레스테롤 생합성에 방해를 받으면 세포 증식이 억제된다고 설명한다. 2000년대 들어 스타틴의 암 억제 효과에 대한 논문이 계속 나오고 ... ...
마스크는 코로나19 감염률 14%, 2m 거리두기는 9.8% 떨어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빠르게 해결해 모든 사람이 같은 마스크를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 1
저자
인 데렉 추 맥마스터대 교수는 “우리는 일반인들에게 안면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거리두기와 눈 보호, 손 씻기와 같은 기본 조치의 ... ...
[게놈과 인류사]3500년 전 우물서 생을 마감한 그녀에게 무슨 일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km 떨어진 중앙아시아나 이란 동부의 당시 인류와 훨씬 비슷했던 것이다. 연구의 공동교신
저자
인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이렇게 홀로 튀는 유전정보는 대부분 후대의 다른 시대 유골로 밝혀지는 경우가 많다”며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등을 통해 다각도로 재검토했지만, 약 3500년 ... ...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공부한 생명과학자이자 역사 매니아로서 막스플랑크의 굵직한 연구에 다수 교신
저자
로 참여하며 유전정보 분석을 주도하고 있다. 덕분에 집단유전학 ‘불모지’였던 국내에서도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지역의 과거를 조명하는 연구 논문이 활발히 나오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중국과 시베리아 및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