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6건 검색되었습니다.
홍콩은 어떻게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불러온 2차 파도를 막아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20일까지는 휴교가 확정된 상태로 휴교가 이어질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 1
저자
인 벤자민 카울링 홍콩대 교수는 이달 18일 가디언과 인터뷰에서 “홍콩은 국경을 잠그고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와 같은 조치를 빠르게 행하며 중국과 미국 및 서유럽 국가들이 채택한 매우 파괴적인 조치에 ... ...
"위중한 코로나19 증상, 백혈구 과잉 활성화가 원인일 수도"
연합뉴스
l
2020.04.20
코로나19 환자의 과도한 NETs 활성화를 막을 수 있다는 제안도 나온다. 논문의 공동 교신
저자
인 페인스타인 연구소의 벳시 반스 교수는 "코로나19의 위중한 병세나 특별한 임상적 특징이 NETs의 존재와 연관돼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신종 코로나 '사이토카인 폭풍' 막는 인공 단백질 개발"
연합뉴스
l
2020.04.17
광 수석연구원과 MIT 코흐 연구소의 칭 루이 연구원이 주도했다. 이들은 논문의 공동 수석
저자
이기도 하다. 관련 논문은 17일 국제 학술지 'QRB 디스커버리(Quarterly Review of Biophysics Discovery'에 실렸다. 사이토카인은, 염증과 다른 면역반응을 자극하는 신호전달물질(단백질)이다. 그런데 사이토카인은 ... ...
물 잘 빨아들이는 고분자 코팅해 전기분해 효율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6
활용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다솜 UNIST 박사과정생과 박진우 석박통합과정생이 공동 1
저자
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이달 10일 실렸다 ... ...
태양계 첫 성간 천체 '오우무아무아'는 별에 찢긴 천체 파편
연합뉴스
l
2020.04.14
행성계의 형성과 진화에 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했다. 논문 공동
저자
인 UC 샌타크루즈의 천문학자 더글러스 린 교수는 "오우무아무아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면서 "베라 C. 루빈 천문대(대형 시놉틱 관측 망원경)가 가동되면 비슷한 특징을 가진 성간 천체를 더 많이 발견하게 ... ...
[주말N수학] "내 문제를 해결하는 수학교육 이뤄져야"
수학동아
l
2020.04.11
도구란 걸 알게 된다. 최근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라는 책을 번역했는데,
저자
는 수학교육이 사회를 이해하는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Q.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란 무엇인가. 수학교육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인간과 세상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 ...
약 2억년 전 공룡 알 화석 속 배아 두개골 3D 복원
연합뉴스
l
2020.04.10
배아 발달단계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논문 공동
저자
인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의 요나 코이니어 교수는 "2억5천만년 이상된 파충류 진화 과정에서 배아단계 두개골 발달 방식이 거의 똑같게 유지된 것은 놀라운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에 활용한 ... ...
'껌만 씹어도 배부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사이에 두고 한 자리에 모였다. 왼쪽부터 교신
저자
인 김성연 서울대 화학부 교수와 제1
저자
인 허규량, 김민유, 김동윤 연구원이다. 윤신영 기자ashilla@donga.com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생리학자들은 동물의 소화관에 구멍을 내서 물이 위에서 새어나가게 하거나 위에 풍선을 넣고 바람을 ... ...
"소변량 줄었어요. 병원 가세요" 네이처가 주목한 한국 연구자들이 만든 'AI 변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밝혔다. 박승민 스탠퍼드대 수석연구원과 함께 연구를 이끈 두 명의 공동 제1
저자
들이다. 왼쪽부터 원대연 서울송도병원 과장, 이준 스탠퍼드대 연구원이다. 서울송도병원, 스탠퍼드대 제공 현재 이 스마트변기 기술 가운데 카메라를 통한 소변 속도 및 양 측정 기술은 남성 사용자만을 위한 ... ...
원자 하나까지 세밀하게 보는 가장 정교한 '나노입자 촬영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모습이다. 맨 오른쪽 위가 공동교신
저자
인 박정원 IBS 연구위원이고 가운데가 공동1
저자
인 김병효 IBS 연구위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번 연구로 나노 소재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표면 구조를 직접 관찰하고 연구할 길이 열렸다. 김병효 연구위원은 “추측만 해오던 나노입자의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