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228건 검색되었습니다.
침방울 속 코로나19 바이러스, 여름에는 감염 능력 하루로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감염력에 대해서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연구 1
저자
인 제레미아 맷슨 미국 마셜대 생명의학부 박사과정생은 “코로나19에서는 침방울을 통한 감염이 주요 경로지만 표면을 통한 감염 가능성 또한 다뤄야 한다”며 “작은 연구지만 대중에 유익한 정보를 줄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미국 MIT의 화학자들이 밝혔다. 그러나 당시 양자 효율은 꽤 낮았다. 이번 논문의 교신
저자
인 나고야 신슈대 도멘 카주나리 교수는 대학원생 시절인 1980년 스트론튬 티타나이트 광촉매에 대한 첫 논문을 발표한 이래 40년 동안 효율을 높이는 연구에 끈질기게 매달렸고 이번에 극한의 경지에 ... ...
"'피터팬 원반'은 다른 별과 떨어진 외로운 환경서 형성돼"
연합뉴스
l
2020.06.11
많은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논문 공동
저자
인 같은 대학의 토머스 하워스 박사는 "수명이 긴 원반의 존재는 정말로 놀라운 것이며, 이런 원반이 어떻게 장기간 존속하는지를 찾아내는 것은 원반의 진화와 행성 형성에 관한 이해를 넓히는데 중요할 수 있다"고 ... ...
별 형성 영역 깊숙이서 쌍성계 만드는 원시별 생생하게 포착
연합뉴스
l
2020.06.10
지름 정도 거리를 두고 서로를 360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논문 공동
저자
인 MPE의 하이메 피네다 박사는 "이번처럼 형성 초기 단계에 있는 쌍성계 별의 전체 궤도까지 파악한 것은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파올라 카셀리 MPE 소장은 "이번 관측 결과로 마침내 가장 깊은 곳에 ... ...
"노년에 부정적 사고 반복하면 치매 자초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0.06.08
우울증이나 불안증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단백질 축적과 상관이 없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UCL 정신의학과의 나탈리 마켄트 선임 연구원은 "우울증과 불안증에 내재하는 특정 사고 패턴이 치매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기저 원인이라는 걸 밝혀냈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우울증과 불안증의 ... ...
고대 화성도 토성처럼 고리 가져…달 포보스 고리 '출신'
연합뉴스
l
2020.06.05
볼 때 화성이 만들어질 때 같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논문 공동
저자
로 참여한 퍼듀대학의 데이비드 민튼 교수가 지난 2017년 발표한 논문에서 안쪽 궤도의 위성 포보스가 화성과의 중력작용으로 고도를 잃으며 행성 쪽으로 끌려들어 궁극에는 갈가리 찢겨 고리를 형성하게 될 ... ...
열성 변이 가진 '베토벤 생쥐', 크리스퍼 가위로 교정 성공
연합뉴스
l
2020.06.05
생후 4주쯤 됐을 때 유모세포가 빠르게 퇴화해 극심한 난청이 온다. 이번 연구에
저자
로 참여한 하버드 의대의 제프리 홀트 이비인후과 교수는 유전자 요법을 사용해 생쥐의 TMC 1 관련 난청을 성공적으로 치료했다. 하지만 유전자 요법은 지속적인 효과를 담보하지 못했다. 회복한 청력을 평생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비즈니스 모델과 과학계의 파국
2020.06.04
비정규직의 이분화로 치닫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괴짜 경제학》의
저자
스티브 레빗은 시카고 마약판매상들은 왜 엄마와 같이 살까라는 주제를 설명하면서 마약을 거래하는 마약상들의 생태계가 극단적으로 이분화돼 마약유통상은 큰 이익을 취하는 반면, 길거리에서 마약을 ... ...
'작은 것이 맵다'…구경 6㎝ 망원경으로 41광년 밖 행성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3
것으로 전해졌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아스테리아 프로젝트 과학자인 논문 제1
저자
메어리 크냅 박사는 "과학 탐사에 최적화하지도 않은 작은 망원경을 갖고 어려운 목표물을 추적한 끝에 간신히 이뤄낸 것이기는 해도 결국 잡아냈다"면서 "이번 논문은 아스테리아 미션의 동기가 된 개념, 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관점에서 쉽게 이해가 가지만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스타틴은 어떻게 효과를 낼까.
저자
는 콜레스테롤이 세포막을 이루는 주요 성분이므로 스타틴 복용으로 콜레스테롤 생합성에 방해를 받으면 세포 증식이 억제된다고 설명한다. 2000년대 들어 스타틴의 암 억제 효과에 대한 논문이 계속 나오고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