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슈퍼건은 완성되지 못했다.그렇다고 쥘 베른의 꿈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었다. 1985년
미국
에서 우주대포에 관한 연구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존 헌터가 진행한 이 연구는 HARP의 계승자라는 뜻에서 ‘슈퍼 고고도 연구프로젝트’(SHARP)로 ... ...
[KAIST] 운전자까지 포함한 원전 디지털화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않는다. 일본의 연구팀과 해마다 돌아가며 논문 발표를 하고 있으며, 2002년 11월에는
미국
에서 이 분야 관련자 모임에서 발표해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현재 연구실에는 13명의 박사과정 학생과 4명의 석사과정 학생이 있다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달 자체를 탄생시키는데 성공했던 로빈 캔업 박사의 시뮬레이션이 돋보였다. 하지만
미국
사우스웨스트 연구소의 캔업 박사가 수행한 초창기 시뮬레이션에는 문제가 있었다. 대충돌로 만들어진 대부분의 부스러기가 지구에 떨어지거나 우주공간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충돌체의 크기가 처음 예상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양산되기 시작하면 인터넷과 컴퓨터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다.최근
미국
코닥과 일본 산요의 합작회사인 SK 디스플레이사에서는 14.7인치 천연색 유기EL 디스플레이를 발표했고, 일본 도시바 마쓰시다 디스플레이사에서는 발광고분자를 사용한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17인치 천연색 유기EL ... ...
새의 날개는 빨리 달리기 위한 것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올라가기 위해 처음 사용됐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사이언스’ 1월 17일자에 보도됐다.
미국
몬타나주립대의 생태학자인 케네스 다이얼은 새의 조상인 공룡이 두 발로 걷다가 경사진 길을 빠르게 오르기 위해 앞날개 깃털을 처음 사용했고, 이것이 진짜 날개로 진화함으로써 지금처럼 날 수 있는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가르치는 사람이 컴퓨터와 대화하고 컴퓨터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시스팀이다
미국
의 벨(Bell)연구소가 미니컴퓨터용으로 개발한 회화형 오퍼레이팅 시스팀 오퍼레이팅 시스팀(operating system: OS)은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수법과 순서를 모은 소프트웨어체계이다 UNIX는 C언어로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이끌려 지구의 달이 됐을 수도 있다.달로 둔갑한 우주쓰레기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미국
애리조나대 관측팀이 J002E3에 대해 스펙트럼 관측을 시도한 결과, 산화티타늄(TiO)의 고유 스펙트럼과 일치하는 ‘지문’이 나타났다. 이 지문은 30년 전 아폴로 로켓에 사용됐던 페인트의 성분임이 밝혀졌다. J00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있다.한편 전압을 가하면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유기EL은 1987년
미국
의 이스트먼코닥사가 처음 개발했다. 일본의 산요전기에서도 1989년부터 유기 EL의 개발에 착수해 1995년에는 기존보다 긴 수명의 소자를 개발하는 등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2년 10월에는 이스트만코닥과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동물복제 연구는 복제동물이 외모마저 원본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최근
미국
의 과학자들은 일반의 예상과 달리 복제고양이는 원형과 모습이 다를 수 있으며, 반드시 똑같은 행동을 하지도 않는다고 밝혔다. 지난 1월 21일, 미 인도주의사회 소속 과학자인 웨인 파셀은 2001년 12월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이규철 교수의 경우 국내대학에서 물리학으로 학부와 석사를 마친 후 박사과정은
미국
노스웨스턴대 물리학과에서 밟았는데, 재료과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반도체 박막의 물성을 연구하는 학위논문을 썼다고 한다. 이 교수는“나노기술 분야를 제대로 연구하려면 학문간의 장벽을 넘어야 ... ...
이전
1086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