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소개해준다. 오늘밤 만난 이들 스타의 이름과 소개장을 당신에게 보낸다. 이들은
바로
안드로메다성운 고리성운 아령성운 그리고 페르세우스자리의 이중성단이다.국부 은하군의 맹주, 안드로메다안드로메다 은하 M31은 하늘에서 가장 밝은 은하며 가장 거대한 나선은하다. 이 은하의 구조는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인간의 뇌가 그러하듯이 기계에서도 그럴 것인가는 큰 과제다. 그렇지만 과학발전,
바로
그러한 기계를 개발함에 있어서는 어중이떠중이 1백만명을 모아 둔다고 해서 독창적인 것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묘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주판에서 시작하여 톱니바퀴식 파스칼계산기를 거쳐서 결국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지표의 복사에너지 흡수능력이 높아진다면 대기의 온도는 크게 상승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지구온실효과다. 냉각효과도 관찰돼장파복사에너지를 가장 많이 흡수하는 기체는 수증기(${H}_{2}{0}$)다. 그러나 수증기에 의한 기온상승은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전 지구적으로 볼 때 그 양이 일정하기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또 체열발산기관이 발달한다. 예를 들어 사슴의 경우, 봄에 묵은 뿔이 떨어지고 나면
바로
새 뿔이 돋아 여름내 자란 다음 가을이 오면 굳어버린다(角化). 새로 돋아나서 한참 자라는 동안의 뿔을 낭각(囊角)이라고 하는데 이 뿔은 피부로 싸여 있고 피하에는 많은 혈관이 분포하고 있어 혈액순환이 ... ...
남북의사들, 원폭피해자 구제에 함께 나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는데 전전(戰前)·전후(戰後) 배상문제가 핵심 사안이다. 원폭피해자에 대한 보상도
바로
이 배상금에 포함된 것이라서 북한측이 특히 관심을 보이지않나 생각된다.(민간단체인 원폭피해자협회는 89년 일본 정부에 보상금 23억달러를 요청한 바있다. 당시 금액은 일본정부가 자국의 원폭피해자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짓기 위해서는 특별한 농사기술이 필요했다. 밀가루만 먹는데서 오는 영양의 불균형을
바로
잡기 위해 그들은 부득이 우유를 마시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더 기름진 땅, 좀 더 쉽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곳을 찾아 나섰고 자연히 전쟁을 일삼게 되었다. 이때부터 그 지역에서는 땅을 뺏고 빼앗기는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자기축도 천왕성에서와 비슷하게 자전축에 46.8°기울어져 있다. 해왕성의 자기장은 표면
바로
밑에 있는 액체의 구각(球殼)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믿어진다.해왕성의 여덟개 위성중 가장 큰 것이 트리톤(Triton)이다. 트리톤에는 보이저 2호가 표면에서 3만 8천 4백㎞까지 접근 탐사해 비교적 표면의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담긴 사진, 즉 데이터를 전화선을 이용해 도쿄 본사로 전송했다. 이렇게 전송된 사진은 막
바로
자동동판제작장비로 보내졌다.그러나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초기의 전자스틸카메라 앞에는 일반소비자들이 접근할 수 없는 걸림돌들이 도사리고 있었다. 우선 카메라 값만 해도 2천6백달러나 되었고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내는 소리는 90㏈ 정도인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이 버스가 클랙슨을 계속 눌러댄다면
바로
옆에서 측정한 소리값은 워크맨 최대 음량인 1백15㏈을 넘어선다.이비인후과 의사들은 90㏈에 노출된채 8시간이 지나면 일시적인 청력장애가 오고 1백㏈에서 2시간이 지나면 영구청력장애가 올 수 있다고 ... ...
어린이 과학교육의 새길 닦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은 우리 국민의 과학인식정도를 '국민학교 수준'이라고 평가한다.
바로
그 국민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쳐야하는 교사들의 책임은 그래서 더 무겁고 힘겹다. 우리의 미래를 짊어질 어린이들에게 몇 개의 과학용어를 외우게 하기보다는 자연을 탐구하는 눈을 갖게 하려는 ... ...
이전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