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가 「콸콸」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공사 비용은 한전측에서 부담한다. 다만 당해년도에 승압공사가 예정돼 있는 지역이면 곧
바로
공사를 하지 못한다.2백20V로 승압을 했을 때 다른 이점은 없을까. 전기 공급능력이 두배로 확대된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를 구체적인 수치로 살펴보면 1백10V로 전기를 공급 했을 경우(옥내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엄청나게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아인슈타인이 잘못 도입했던 우주상수 Λ는
바로
이 진공의 에너지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오늘날 재발견된 것이다.사실 아인슈타인의 이론에서도 우주상수 Λ는 물질이나 복사의 에너지밀도와 대등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이들과 무관한(즉 물질이 없어도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충도 아니고 아주 정확하게 같은 질량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이 질문은
바로
가브리엘스와 그의 연구팀이 답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들은 양성자와 반양성자들을 자장(磁場)에 선회시켜 1초당 몇바퀴나 회전하는가를 측정하였다. 회전수는 그들의 질량과 관계있는데 두 종류의 입자들의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없으면 이가 시린 것처럼 서로가 상대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것이나 과학적 성과가 곧
바로
기술을 통해 어떤 산물이 돼 나올 것이라고 섣부른 기대를 할수는 없다. 과학적인 원리를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이 어느정도 축적돼 있으면 곧 실용화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엔 좋은 아이디어라해도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채울만큼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아직은 없었다는 것이다.이것은 사실일 수밖에 없고
바로
이 논리가 올버스의 파라독스에 대한 설명이라고 웨슨의 계산은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하늘이 어두운 유일한 이유는 하늘을 밝게 비출만한 시간이 흐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우리가 아직 생존할 수 있는 것은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타오르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η Aquarid)이 만드는 유성우가
바로
그들이다. 이 유성우는 물병자리의 북쪽 부분에 자리한 에타 별 근처를 복사점으로 해서 매년 5월 초순경 시간당 20개 정도의 유성을 떨어뜨린다. 이 유성우의 극대기는 완만하며 최대일을 전후로 해서 ... ...
3. 재평가돼야 할 가로림만 입지조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존재하기 마련이다.
바로
이 파도 흐름 조석간만의 차 그리고 바닷물의 온도차 등이
바로
해양에너지 자원이다.선진국들에서는 이러한 무공해 대체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양에너지 개발의 역사는 짧지만 여러 좋은 입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적극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대담하며 매우 날쌔다. 또한 아주 영리하고 약삭빠르다.뿔닭을 잡을 때는 뒷다리로 똑
바로
일어섰다가 옆으로 쓰러지는 속임수를 쓴다. 이런 방법으로 호기심 많은 뿔닭을 유인, 가까이 접근하면 잽싸게 잡아 먹는다.몽구스는 뱀이 많은 지역에서 주로 살고 있다. 독사와 서로 피할 수 없는 일전이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수준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90년부터 국책과제로 채택된 '고온초전도기술개발'도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표준연구소 박종철 박사(양자 연구부장)은 "고온초전도체는 물질 자체가 4,5종의 원소로 이루어진 산화물이므로 화학적 안정성 등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종전의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함유하고 있다. 지구기후형성에 가장 주요한 부분으로서 지구온난화 등의 기후변동은
바로
해양환경의 변화를 의미한다. 우리가 매일 접하는 일기예보도 1주일이 넘는 장기예보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해양부분이 고려가 된다. 자연의 항상성환경도 우리에게는 무척이나 귀에 익은 낱말이다. 197 ... ...
이전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