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4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선 치료 뒤 조직 변화, MRI 응용해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8
연구 결과는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발간하는 의공학 및 의료영상분야 국제
학술
지 ‘의료영상회보 4월 29일자에 발표됐다. 방사선 치료 전후의 뇌 영역 신호를 비교했다. 사진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숲속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8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녹음이 가득한 숲의 모습을 16일 표지로 실었다. 숲 속 나무 뿌리에는 미생물 공생체가 서식한다. 공생체는 식물 내에 서식하는 타종의 생물군을 뜻하는 말로, 숲 생태계 기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식물의 영양분 및 탄소 흡수와 기후변화 대처 능력에 대한 영향을 ... ...
먹이 못 먹은 펭귄 똥에서 생존의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조성이 변화하는 현상을 최초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 8일자에 발표됐다. 남극의 펭귄은 매년 번식을 마치고 겨울이 되기 전 2~3주 가량 깃갈이를 한다. 이 기간에는 물 속을 헤엄칠 수 없어 스스로 먹이를 먹지 않는 일시적 단식을 한다. 연구팀은 ... ...
국내 연구진, 피부치료제로 B형간염 치료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광주과학기술원(GIST)와 차의과대학 공동 연구팀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피부치료제를 이용한 B형 간염치료 ... 간염 바이러스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5월 16일자에 게재됐다 ... ...
재료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
지 UNIST에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성과를 다수 배출하며 관련 분야 선도대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저명한 국제
학술
지를 통해 개교 10년 신생대학의 놀라운 성장을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UNIST 제공 ... ...
"소행성 울티마 툴레, 천체 두 개 병합해 형성"
연합뉴스
l
2019.05.17
등이 참여한 공동연구진은 울티마 툴레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묘사한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연구진은 울티마와 툴레가 천천히 접촉하고 이후 병합해 길이 30여㎞의 천체를 생성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울티마와 ... ...
"현기증 원인, 눈동자 움직임 패턴으로 알 수 있다"
연합뉴스
l
2019.05.17
때에 쓰지 못한 환자가 일부 있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학술
지 '신경학'(Neurology) 온라인판(5월 15일 자)에 실렸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 ...
탐사선 ‘창어 4호’ 첫 연구성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위투-2’의 광학 및 근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한 탐사 결과를 분석한 논문을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6일자에 발표했다. 달 남극의 에이킨 분지에서 칼슘 함량이 적고 철과 마그네슘 성분이 풍부한 휘석과 감람석이 존재한다는 결론이다. 로버가 수집한 데이터와 일반 달 표면 물질 성분의 차이점을 ... ...
UNIST, 3년 연속 ‘라이덴랭킹’ 국내 1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5.16
질적 우수성을 중점적으로 보는 것이다. 올해에는 전 세계 최근 4년간(2014~2017년) 국제
학술
지에 논문을 1000편 이상 발표한 대학 총 963곳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논문 중 피인용수 상위 10% 논문의 비율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겼다. 이는 해당 대학의 연구가 얼마나 과학기술 발전에 영향을 ... ...
세로토닌 항우울제 치료효과 앞당기는 열쇠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5.16
세로토닌계 항우울제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내, 국제
학술
지 '분자정신의학지' 온라인판 5일자에 발표했다. 해마는 뇌에서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영역이며 모시신경세포들이 감정을 조절하는 신경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현재 우울증 환자 치료에는 세로토닌계 ... ...
이전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10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