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4건 검색되었습니다.
분해되는 친환경 페트 대량생산 길 열렸다···플라스틱 대체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폐기물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촉매 분야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ACS) 지속가능화학 및 공학’ 2월호에 발표됐다. 화학연 연구팀이 개발한 PET 대체 바이오플라스틱 PEF 원료 생산용 촉매 모식도. 게 껍질 등에 많은 키토산으로 탄소 지지체를 만들고 거기에 금속 ... ...
美 연구팀, 중증 안구건조증 치료제 개발
연합뉴스
l
2019.05.08
이 연구결과는 미국 시각·안과학 연구학회(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학술
지 '중개 시과학과 기술'(Translational Vision Science & Techn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
깜빡이는 빛과 소리 들려주자 치매 증세가 완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활성화되면서 치매 증세가 개선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
학술
지 ‘뉴런’ 7일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치매가 오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두 종류의 실험용 알츠하이머 치매 쥐를 대상으로 1초에 40회 깜빡이는 빛을 하루 한 시간, 총 3~6주 동안 비췄다. ... ...
표적 항암치료제 내성문제 해결할 새로운 바이오마커 5종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정밀의학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유럽생화학회저널‘ 지난달 7일자에 발표됐다. 조광현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생화학회저널(FEBS Journal)’의 4월 7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KAIST 제공 ... ...
한국 발간 생물다양성분야
학술
지, ESCI 저널로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수준의
학술
지로 인정받을 기회가 열렸다는 평가다. ESCI는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은 신규
학술
지가 주로 등재되는 곳으로, SCI급 전단계로 인식된다. 임승철 국립중앙과학관 전시연구단장은 “JAPB 편집위원들의 헌신적인 노고가 JAPB의 ESCI 등재에 큰 힘이 되었다”며 “저널의 ESCI 등재는 수록 ... ...
"새 자폐·발달장애 진단법 기존보다 3배 더 정확"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검사법인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가 기존 검사보다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3월호에 발표했다.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검사는 염기서열 단위에서 염색체에 변이가 일어났는지 유전자 특성을 분석하는 검사로, 이론상 기존 염색체 검사로 알아내기 힘든 ... ...
버려지는 에너지로 작동하는 IoT센서가 화재 예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같은 대형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에너지 앤 인바이런멘탈 사이언스’ 지난 1월 4일 발표됐다 ... ...
어릴때부터 포켓몬 즐긴 사람, 뇌 속에 포켓몬 구역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뇌 속에는 포켓몬에 우선적으로 반응하는 뇌 구역이 생긴다는 연구결과를 6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인간 행동’에 실었다. 인간의 뇌는 특정 자극에만 반응하는 영역이 따로 존재한다. 인간의 얼굴을 볼 때는 활성화하지만 자동차를 볼 때는 활성화하지 않는 영역이 있는 식이다. 이런 영역은 ... ...
좋은 기억이 나쁜 기억보다 잘 떠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오랫동안 저장되며, 이를 이용하면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인간행동'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279명에게 랜덤으로 승패가 갈리는 컴퓨터 게임을 하게 했다. 이 게임은 승패에 따라 점수를 얻거나 잃는데, 한 라운드가 끝날 때마다 생물 ... ...
치매 원인 뇌 속 미세아교세포 실시간 관찰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장영태 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 자기조립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미세아교세포를 볼 수 있는 형광물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 ... 궁극적인 뇌 질환 치료제가 개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30일 국제
학술
지 ‘앙게반테 케미’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이전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