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5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원인 뇌 속 미세아교세포 실시간 관찰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장영태 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 자기조립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미세아교세포를 볼 수 있는 형광물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 ... 궁극적인 뇌 질환 치료제가 개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30일 국제
학술
지 ‘앙게반테 케미’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어린시절 무심코 먹은 항생제가 거식증·폭식증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나이가 들어 식이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미국의사협회 정신의학회지' 4월 24일자에 발표했다. 그간 학계에서는 식이장애가 유전적인 요인과 스트레스, 불안 등 정신적인 요인 때문에 발생한다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덴마크에서 1989년 1월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품첨가제로 만든 3D프린팅 인공장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5.05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3일 3D프린팅을 통해 만든 인공 폐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물을 기본 성분으로 포함하는 젤리형태 물질인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지름 약 4.5mm의 공기주머니를 만들었다. 그 주위로 지름 약 0.3mm의 붉은색 혈관들이 둘러싸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기 ... ...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생애 첫 임신, 화학적 유산으로 마무리 짓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설사 배아가 더 발달하지 못해도 임테기와 혈액검사에서는 검출된다. 화학적 유산의
학술
용어를 찾아보니 생화학적 임신 소실(biochemical pregnancy loss), 영양막 세포 퇴행(trophoblast in regression), 전임상 배아 손실(preclinical embryo loss)로 연구자마다 서로 다르게 부른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공통적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온난화로 해양생물이 육지생물보다 2배 빨리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지구온난화로 바다 생물이 육지 생물보다 2배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소개했다. 연구팀은 도마뱀과 거미 등 육상 변온동물 299종과 해양 변온동물 88종에 대해서 각 생물종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온도와 현재 겪고 있는 최대 온도의 차이를 계산해 현재 서식지에서 살 ... ...
간접흡연이 고혈압도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강북삼성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이달 3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
학술
대회 '유로하트케어 2019'에서 본인이 담배를 피우지 않더라도 담배 연기에 자주 노출될수록 고혈압이 발생할 위험이 13%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평균나이 35세인 비흡연자 13만 1 ... ...
[제2의 실크로드 꿈꾸다] 도로 깔아주고 공동연구 강화하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담고 있다. 과학기술을 디딤돌 삼아 중국을 최고의 문명국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중국의 과학 실크로드’를 주제로 중국이 진행하고 있는 BRI 프로젝트를 집중 조명하는 연재를 1일부터 시작했다. 네이처는 총 5회로 진행될 연재 첫 주제로 ‘중국은 어떻게 전세계 과학 ... ...
핀란드에선 포항 지열발전 방식 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통해 지열 발전으로 발생하는 유발지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일 공개했다. 핀란드 당국이 규모 2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프로젝트를 중단할 것을 조건으로 걸었는데 세심한 관리를 통해 이를 지킨 것이다. 지열발전은 지구의 열 ... ...
日무인탐사선 하야부사, 소행성에서 물 가져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이토카와에서 물을 발견했고 물도 생각보다 풍부한 편이라는 연구결과를 이달 1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소행성 이토카와는 가로 약 200~300m, 세로 약 540m 크기로 두 개의 돌덩어리가 붙은 땅콩 모양이다. 지구와 태양 간 거리의 1.3배 거리에서 태양을 18개월 주기로 ... ...
혼자 사는 사람은 정신장애 겪을 위험이 2배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관계없이 정신장애가 생길 위험이 크며, 그 주요 원인이 외로움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 1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노인이 혼자 사는 경우 정신장애가 얼마나 많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주로 연구했었다. 쟈콥 연구원팀은 고령뿐 아니라 젊은 층에서도 독거가 ... ...
이전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1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