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땅크기"(으)로 총 1,2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군용비도」를 제작한 일본 육군의 지도제작팀은 그보다 40년 전에 만들어진 대동여지도를 보고 세번 놀라게 된다.1898년. 대한제국 광무 2년, 일본 명치(明治) 31년이다. 일본 육군은 한국 땅에서 극비리에 지도제작에 착수하고 있었다. 육지측량부(陸地測量部)의 요원들이 암암리에 활동하고 있었 ...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지층면에 우묵우묵 파인 자국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고, 삼지창 모양의 발가락까지 선명하게 보였다.1970년대에 들어와 여러 종류의 공룡화석이 국내에서 발견되고 한반도에도 공룡이 살았다는 사실을 이제는 의심할 수 없게 되었다. 그렇다면 이들 화석이 나오기 전까지 한반도에서는 왜 공룡 ...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과학동아 l1991년 02호
- 1603년 조선에는 새로운 세계지도가 전래됐다. 중국에 사신으로 갔던 이광정(李光庭)과 권희(權憘)가 1602년 제작된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를 가져온 것이다. 그것은 조선학자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타원형으로 그려진 세계의 서쪽에는 거대한 유럽대륙이 자리잡고 있었다. ...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오늘날 고도의 정보화 사회가 닥침에 따라 많은 양의 정보처리와 전달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의 정보교환 즉 통신은 지금까지는 주로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수단이 있는 곳에서만 가능했다.그러나 복잡다단해지고 있는 현대사회는 인간이 어느 곳에서나 어느 때나 어느 누구와도 ...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조선 지도책의 맨 앞장에 수록되었던 천하도. 이 속에는 실재와 상상의 세계가 혼재돼 있다.배를 타고 몇시간 바다로 나가면 멀리 보이는 수평선이 둥글게 떠오른다. 시야에 들어오는 푸른 바다가 원반(圓盤)의 반조각처럼 선명하다. 돌아서 보면 그 쪽도 둥근 선이다. 눈에 보이는 바다는 분명히 둥 ... ...
- 1402년의 세계지도과학동아 l1990년 12호
-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가 나오기 전까지 세계최고로 평가되었던 지도를 조선초기의 학자들이 제작했다.서유럽과 아프리카대륙의 존재를 한국인은 언제부터 알았을까. 사람들은 흔히 1603년에 이광정(李光庭)이 중국에서 가져온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1602년 세계지도를 보고 나서부터 ... ...
- 슈퍼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1990년 10호
- The diamond is a super-substance in so many different ways that it might seem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super-diamond. Nevertheless, that is what chemical engineer, William F. Banholzer, of General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과학동아 l1990년 08호
- 미국 유럽 일본 소련 중국 등지에 흩어져 있는 1만여명의 한인과학자들, 그들은 국내과학자들보다 노벨상에 한걸음 더 다가서 있는 것일까?외국에서 활동중인 한국인 과학자 가운데 세계속에 이름이 빛나는 사람들은 누굴까.그들은 어떠한 삶의 통로를 지나 무슨 분야에서 조국과 자신과 가문의 영 ...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과학동아 l1990년 08호
- 미·일중심의 전통적 과학기술협력단계에서 소련 중국 유럽 개도국의 비중이 높아지는 다변화시대로 접어들고 있다.과학계에 국제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해 '기초과학의 원년'을 주창했던 과기처가 올해에는 해외과학기술교류를 최대의 중점사업으로 표방하고 나섰고, 대통령의 일본방문과 ...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과학동아 l1990년 08호
- 구텐베르크의 이름을 무색하게 한 「직지심체요절」. 이 기술의 전통은 계미자 갑인자로 이어지고.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은 한국에도 널리 알려진 프랑스의 동양학자다. 그가 지은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éenne 3권, 파리, 1894~96)때문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까지 나온 한국책에 관한 모든 정보를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