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땅크기"(으)로 총 1,2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일본의 청동기 전래를 둘라 싼 한·일 고고학자 간의 치열한 논쟁은 납의 동위체 비(比) 측정결과에 의해 마감됐다.고고학은 땅속에 있는 유물과 바다 속에 있는 유물들을 다룬다. 전에는 거의가 우선 파내고 건져올리는 데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고는 고증하고 복원하고 체계를 세워서 역 ... ...
- PART3 우리나라의 위성개발 우리도 1993년엔 관측위성 띄운다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자원탐사 및 대기분석용 과학관측위성 발사계획이 확정됐다. 비용이 저렴한 공중발사방식이 채택된 것이 특징이다.우리도 인공위성을 발사한다. 90년 과학기술처 업무보고(2월16일)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항공우주연구소는 오는 93년 과학관측위성을 발사해 자원탐사를 비롯한 국토개발과 한반 ... ...
- 대학입시 과학문제 철저분석과학동아 l1990년 02호
- 대입학력고사가 '선지원 후시험'이란 형태로 바뀐지도 몇년이 지났다. 지금까지 학력고사가 끝나면 출제위원장이 전반적인 출제 경향을 밝히고 사설 입시전문학원이나 입시지도교사들이 일간지 등을 통해 일회적인 출제문제 경향분석을 하는 정도였다. 여기서는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난 학생들에 ... ...
- 지구가 너무 덥고 추웠을 때 When The Earth Was Too Hot and Too Cold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지구의 여러 곳 기후가 좋지 않다고 느끼고 있다면 가끔 기후가 훨씬 더 나쁠 때, 지표의 일부가 전혀 생존불가능한 상태에 있었던 시기도 있었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이런 현상은 땅과 물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물은 땅보다 보다 큰 열흡수 능력을 갖고 있다. 즉 일정량의 열은 물에 ... ...
- 빛이 만들어 내는 찬란함 색체과학동아 l1989년 12호
- 모든 사물은 빛이 있기 때문에 색을 갖는다.얼마만큼 정확히 색을 측정하고 표시하느냐는 우리가 생산해내는 모든 재화의 질을 결정한다.하늘과 땅과 바다와 수풀은 그 고유의 색을 가지고 있다. 자연물에서 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건축물, 가구, 의상을 포함한 공산품에서 색은 대단히 중요한 역할 ... ...
- 동양최초로 지전설(地轉説) 주장한 홍대용(洪大容)의 독창적 우주관과학동아 l1989년 12호
- 홍대용읜 '의산문답'(醫山問答)에서 지전설에 근거해 점성술과 음양오행설의 비과학성을 비판했다.중세까지 서양에 비해 앞서 있던 동양의 천문학은 어떻게 해서 근세로 오면서 뒤지게 디었는가?서양에서 지동설을 처음 주장했던 코페르니쿠스(Nicoals Copemicus, 1473∼1543)는 당시의 정설(定説)이었던 ... ...
-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과학동아 l1989년 12호
- 조개비 앞에서필자는 금년 가을에 제주도에 다녀왔다. 바닷가의 동물들이 살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고 그것들의 사진을 찍기 위해서였다. 서귀포의 앞 바닷가와 성산포 일출봉의 서쪽 바닷가에 갔을 때 나는 층층으로 겹친 암석이 있고, 그 속에 여러 가지 종류의 조개비가 박혀 있는 것을 보았다.이 ...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과학동아 l1989년 12호
- 코를 제외하고는 온몸이 긴 털로 덮여 있어 「작은 사자」같은 우리의 삽사리는 이제 멸종의 위기를 맞고 있다.삽사리는 동양권에서는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외모와 성품을 지닌 우리 고유의 토종개로서 조상들의 정감에 밀접히 연루되어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의 일부이다. 최근 서양문 ... ...
- PART1. 개념과 특성과학동아 l1989년 11호
- 빛은 생명을 주고 첨단산업을 이끈다.빛은 세상을 밝게 해준다.빛이 있음으로 하여 우리는 물체를 볼 수 있다. 사람의 눈으로 밝고 어두운 것을 느낄 수 있는 빛을 가시광선이라 부르며 대체로 0.38μm-0.78μm 영역의 파장을 가지는 전자파가 이에 해당된다.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학, 광산업이란 용 ... ...
- 천적 내가 살기에 남을 죽인다과학동아 l1989년 11호
- 병을 일으켜 상대방을 죽게 하는 천적, 숙주몸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다 빨아먹고 고자시키는 천적,직접 잡아먹는 천적 등의 얘기.천적(natural enemy)을 우리나라 말로 풀이하면 '천연(天然)의 적(敵)'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적이란 살아있는 생물에서 영양을 섭취하여 생활하는데, 그 결과 그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