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뒤 미국 유수 기관을 경험하며 우리
연구실
의 세계적인 수준을 몸소 깨달았다.현재 우리
연구실
을 졸업한 연구원들은 LED, 반도체 관련 기업과 국내외 학계로 진출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LED의 쓰임새는 더 다양해질 전망이다. 지구온난화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저전력, 장수명,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중휴면 전략 펴는 깽깽이풀씨앗이 모체를 떠나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는 방법도 가지가지입니다. 물론 그에 맞춰 씨앗(또는 씨앗을 감싸고 있는 과피)의 형태도 적응 ... 한국야생식물종자은행 연구원 김영철 한국자생식물원 희귀멸종위기식물
연구실
실장 | 박성은 진남한의원 원장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나노구조의 특성을 밝히거나 나노구조를 만드는 조건을 찾는 데 쓰인다. 나노광학
연구실
은 신소재공학부의 정건영 교수팀과 함께 인듐갈륨나이트라이드 청색 LED의 발광효율을 30% 이상 높일 수 있는 원천기술을 지난해 개발했다. 이 연구는 올해 4월 재료공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당시의 76% 수준까지 복원할 계획이다. 되살려 낸 것은 세종대 지능형 미디어
연구실
백성욱 교수 연구팀이다. 사진을 확대하고 디지털 이미지 처리를 거쳐 원본 그림을 살려 내는 일이다. 백 교수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중이던 광화문 사진과 일본 도쿄대에 있는 2장의 옛 광화문 사진에서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같은 곳에서 실리콘 메모리나 화합물반도체를 개발하는 졸업생이 가장 많다”면서도 “
연구실
에서 화합물반도체의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꿈을 펼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수의 비법전수공학 분야에서 전문가란 많은 지식을 암기한 사람이 아니다. 예상치 못한 ... ...
슝~! 사랑은 비행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박사님의 마음도 잘 전달되길 바랄게요!도전! 나도 섭섭박사3월 15일자에 소개된 거울
연구실
에도 정말 많은 친구들이 찾아와 주었어요. 다른 친구들은 어떻게 거울나라를 탈출했는지 함께 볼까요?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실험실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kids.dongascience.com❶ 내가 만든 섭섭박사 실험실 ... ...
가로 세로 5mm 속에 펼쳐진 꿈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연구원들과 당당하게 경쟁하겠다는 꿈을 키웠다. 그리고 지금 그 꿈을 실현했다.
연구실
을 졸업한 뒤 실리콘밸리에 자리를 잡고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집적시스템 설계연구소 선후배라면 세계 어디에서 일하든지 자신의 꿈을 실현시킬 상상력을 키워나가리라 믿는다 ... ...
이공계 중점대학 진학의 길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않고 모든 전공을 탐색하는 기간을 준다.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은 지도교수 및 대학원
연구실
과 긴밀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전공과 진로를 설계할 수 있다.동시에 자유 전공 기간은 수학·과학의 기초를 탄탄히 다지는 시기다. 기초를 확실히 다진 후 전공을 배우는 것과 그렇지 않고 전공에 ... ...
기초과학 위에 세운 첨단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GIST는 10여 년 간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며 탄탄한 연구 인프라를 마련했다. 그 결과 고등광기술연구소를 비롯한 세계적인
연구실
을 운영 중이다. 학부로 입학하는 학생들 ... 시스템
연구실
,응용광학
연구실
, 레이저나노가공
연구실
, 생체이식형 마이크로시스템
연구실
등이 운영 중이다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속에 등장하는 것처럼 완벽한 인간의 모습을 갖춘 로봇은 아직 없다”면서 “현재
연구실
에서 연구하는 로봇은 대부분 인간의 마음을 담기 위해 노력하는 측면이 강하다”고 말했다.대표적인 예가 CMU로봇연구소의 마스코트인 ‘탱크’다. 연구소 입구에 자리 잡은 탱크는 키보드와 모니터,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