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있는 태도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담 선생님의 조언1. KAIST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다양한 연구실 사이트를 탐색해보고, 자신이 앞으로 들어가서 연구하고 싶은 분야가 무엇인지 생각해본다.2. 동아리에서 자선회를 열어서 요양원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본다.3. 자신 있고 당당하게 말하는 ...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위한 수많은 에너지원 후보가 거론되고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연구자들이 연구실에서, 자연현장에서 ‘석유 이후 자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연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가 있을까. 석유 시대는 과연 끝났을까명인성 vs 리처드 하인버그미국 텍사스를 거점으로 50년 가까이 석유 ...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수 있는 광집게는 앞으로 μm 크기의 기계들을 제작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이 연구실에서는 광집게로 다양한 응용실험을 하고 있다. 물체의 물리적 특성과 환경 조건에 따라 물체를 포획하는 힘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장에 따라 포획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는 어디까지인지 실험과 함께 ...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사람이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또 심지어는 다른 기술자의 연구실을 염탐하는 데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술자 한 사람이 자신의 기술을 공개하면 다른 기술자들은 이를 보고 더 좋은 효율을 내는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 더 좋은 기술을 만드는 ...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펄스가 반짝하는 시간, 즉 펄스폭이 30fs(펨토초, 1fs=10-15초)에 불과하다. 국내 대학 연구실이나 연구단에서도 자체 제작한 테라와트 이상의 레이저로 수십 펨토초급 펄스 레이저를 만들고 있다. 하지만 원자를 연구하는 물리학자들에게는 이마저도 느리다. 원자 내에서 전자는 아토초(as, 1as=10-18s)의 ...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하지만 연구를 주업으로 하는 연구자에게 글쓰기는 과외일이나 다름없다 보니 학교나 연구실에서 주위의 눈치를 보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패기 넘치는 젊은 과학자들이 선뜻 글쓰기를 통한 대중과 소통에 나서기 힘든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이에 대해 이종필 연구원은 “글을 쓰는 데 드는 ...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않고 미개척 분야인 리보솜 구조를 연구하는 데에만 매달릴 수 있었던 비결이다. 그의 연구실이 있는 건물에는 후원자인 키멜만 부부의 이름이 들어가 있다.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하기 전에도 요나트 박사는 볼프화학상(2007년), 유네스코-로레알 여성과학자상(2008년)처럼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 ...
- 반도체 소자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연구실 생활은 다르겠지만, ‘먼저 깊이 생각하고 이해한 후 응용하라’는 물리전자연구실의 소중한 가르침은 한결같으리라 생각한다. 홍성민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공학박사를 마쳤다. 현재 독일 뮌헨 연방군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보내고 있다. 창의적인 발상은 열린 ...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말한다. 그 해답이 바로 과학과 기술, 과학과 철학, 과학과 의학의‘융합’이다. 그는 연구실 제자들을 비롯해 앞으로 융합의 시대를 살아갈 젊은이들에게‘transcent’의 개념을 말한다. 찰스 다윈의‘종의 기원’에서 나온 descent, 제이콥 브로노프스키의‘인간 등정의 발자취’에서 비롯된 ascent가 ...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온 연구원들이 국내 연구진과 호흡을 맞추고 있다. 미국, 유럽, 호주 등지에서 연구실을 방문하는 외국 교수도 해마다 늘고 있다. IEEE 진화연산 분과 에디터로 활동하는 그의 연구역량 덕분이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진화연산 전문가이면서 협력연구를 주도하게 된 이유는 좋은 연구가 여러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