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인삼을 캐러 다니는 사람을 ‘심마니’라고 부르기도 한다. 심이 인삼으로 변한 것은 중국에서 삼(蔘, 인삼 삼)이라고 불렀기 때문이다.특히 뿌리 모양이 사람과 비슷하다고 해 인삼이라고 불렀다.인삼에 많이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은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사포닌은 ... ...
- 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기간에 폭발적으로 분화한 탓에 그동안 진화관계가 뒤죽박죽 얽혀 있었다. 최근 한국과 중국, 덴마크 등 20개국 국제공동연구진은 현대 조류를 대표하는 48종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방대한 진화계통도를 다시 썼다. 유전체 비교분석 연구로는 가장 큰 규모이며 기간은 총 4년이 걸렸다 ... ...
- [수학뉴스] 사람의 신체 나이, 3차원 사진으로 분석!수학동아 l2015년 05호
- 40세 이상의 실험 참가자들은 차이가 더 컸습니다.이번 연구를 이끈 한징동 중국과학아카데미 컴퓨터생물학과 교수는 “3차원 얼굴 사진 분석은 혈액 분석보다 신체 나이를 더 정확하게 알아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앞으로 이 모델은 환자의 신체 나이를 분석해, 노화 정도에 ...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사실을 보여준다. 언어를 배우는 나이가 빠를수록 변하는 경향도 컸다. 모국어로 중국어를 쓰는 사람은 어려서 영어를 배울수록 자아이동관점으로 많이 이동한다.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력한 증거다.사랑이 마음엔 두 사고체계가 있을까한국어를 배우면서 사랑이에겐 어떤 변화가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황사연구과의 김정은 연구사는 “지난 겨울에 강한 황사가 관측됐다는 것은 중국 지역에 덮여 있던 눈이 녹아 황사가 일어나기 좋은 조건이 이미 형성됐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보통 때보다 남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강한 편이어서 황사 일수는 보통 때와 비슷하거나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흉포한 물의 공격가뭄은 한반도만의 문제는 아니다. 미국 캘리포니아는 1200여 년 만에, 중국 동부 곡창지대는 53년 만에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2년 전 동아프리카는 6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이 찾아와 수만 명이 죽고 1000만 명이 굶주렸다. 홍수도 인류를 괴롭히고 있다. 미국은 홍수 때문에 매년 ... ...
- [Hot Issue] 야동, 이제 웹하드엔 없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궁금해했다. 프록시 서버는 일종의 우회로다. 서울에서 수원으로 편지를 보낼 때, 일부러 중국 베이징의 우체국으로 보내서 차단망을 피하는 식이다. 음란물도 막힌 경로를 피해 다른 사이트로 돌려서 받으면 되지 않을까.“우회로도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박 팀장은 과거 프록시 서버를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캐츠(CATS) 기자!CATS 기자 네, 지금 제가 서 있는 우주정거장에서 봐도 뿌연 미세먼지가 중국 상공을 덮고 있네요.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저는 올해 1월에 이곳에 도착해 레이저 장비로 구름의 위치 및 분포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세 종류의 파장으로 구름의 높이, 너비, 두께를 알 수 있죠. ... ...
- Bridge. 그래픽으로 보는 서울 물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서울 시민은 그나마 아껴쓰는 편이다. 뉴욕, 도쿄보다 1인당 물을 적게 사용하고, 특히 중국 상하이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상한 물, 무서운 물, 똑똑한 물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Bridge. 그래픽으로 보는 서울 물 지도Part 3. ...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쉽지만 불에 잘 타지 않는 나무도 있어요. 우리나라 제주도를 비롯해 일본, 대만, 중국 등에 사는 아왜나무가 그 주인공! 아왜나무는 불이 붙으면 잎에서 수분이 빠져나오면서 뽀글뽀글 거품이 나요. 아왜나무 잎은 두껍고 수분이 많거든요. 거품은 차단막이 되어 나무에 불이 직접 닿지 않도록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