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120m나 낮아졌다. 영국과 유럽,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이 육지로 연결됐고, 한반도는 중국, 일본과 연결됐다. 러시아 동부와 알래스카 사이에도 긴 육교가 생겼다. 유라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은 한 덩어리가 됐다. ‘베링기아’라고 불린 이 육교를 통해 털매머드 등 많은 동물이 대륙을 넘나들었다.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저는 미국 아이다호주립대 심리학과 샤오밍 쑤 교수와 이제 막 사랑에 빠진 중국인 남녀 18명의 뇌를 스캔했습니다. 40개월이 지난 후 다시 그들에게 전화를 걸어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12명이 저희에게 응답을 했고, 이 중 6명은 아직도 40개월 전의 상대와 만남을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이들에게 ...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아비간이 그만큼 인기스타라는 반증일까요? 아니면 짝퉁 공화국, 중국의 힘일까요? ★1위★ 브린시도포비르 브린시도포비르는 운 좋게 얻어 걸린 치료제입니다. 개발자도 이 약이 에볼라에 효과가 있을 줄은 몰랐다고 할 정도니까요. 이 약은 원래 다른 바이러스의 치료제로 ...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수각류 공룡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주제로 사이언스, 네이처에 논문을 34편이나 썼어요. 게다가 이 종류의 공룡 화석은 오직 중국 랴오닝성에서만 나와요. 최고 적임자였죠.Q 앞으로 언제쯤 연구 결과를 볼 수 있을까요?A 1~2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천연기념물센터에서 동물과 지질 업무를 총괄하고 있기 때문에 공룡만 연구할 수 ... ...
-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특히 올해는 행성보다 작은 왜행성 탐사가 연달아 이뤄질 예정이라 눈길을 끈다. 그밖에 중국의 달탐사도 본격적인 궤도에 오를 예정이다. 2015년 주요한 탐사선의 임무를 정리해 봤다.뉴호라이즌(New Horizons)목적지 | 명왕성 및 카이퍼벨트 소천체2015년 이벤트 | 7월 명왕성 근접 통과, 명왕성 및 위성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중 아황산 농도가 0.02ppm을 넘으면 매화나무지의는 아예 살지 못한다. 문 연구관은 특히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오는 오염물질이 큰 영향을 미쳤으리라고 짐작하고 있다. 일본도 열도를 세로로 가르는 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에 해당하는 동해 쪽 지역은 지의가 잘 자라지 못하고, 태평양 쪽을 향한 ...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악영향을 줄지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 신교수는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는 대부분 중국 등지에서 수입되는 것으로, 제작 표준이나 안전 기준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며 “액상의 니코틴 함량이 제 각각이고 표기조차 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심각한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 ...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정식 서비스 출시 이후 1년 만에 700만 다운로드를 달성했다. 특히 전체 다운로드 중 90%가 중국, 대만, 동남아 등 해외시장에서 이뤄졌다. 팬들이 자발적으로 입소문을 내주는 덕에 지금껏 마케팅도 따로 하지 않았다.“구글 플레이어에 리뷰로 ‘왜 베트남어가 없어요?’라는 댓글이 달리면 ‘번역을 ...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좋아하는 ‘가죽나무’의 수가 확늘어났거든요. 가죽나무는 원래 따뜻한 중국 남쪽 지역에서 살던 외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로수로 쓰였지요. 원산지보다 추운 우리나라 기후에 잘 적응하지 못했지만, 2006년에 이상고온 현상이 이어지며 가죽나무 수가 늘기 시작했지요.이처럼 외래종 식물이 ...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필요가 있을까. 현재 서아프리카에 의료진을 파견한 나라는 우리나라와 영국, 미국과 중국 등 7개 나라뿐이다. 그 외의 국가들은 군대를 파견하거나 자금만 지원하고 있다.정 심의관의 대답은 명료했다. “시에라리온에 가장 필요한 건 의사입니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당면한 어려움을 헤쳐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