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120m나 낮아졌다. 영국과 유럽,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이 육지로 연결됐고, 한반도는 중국, 일본과 연결됐다. 러시아 동부와 알래스카 사이에도 긴 육교가 생겼다. 유라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은 한 덩어리가 됐다. ‘베링기아’라고 불린 이 육교를 통해 털매머드 등 많은 동물이 대륙을 넘나들었다. ...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지점이 보인다. 그래서 북한을 공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을 거쳐가야 한다. 이에 중국이 공격을 눈감아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사이버 백년전쟁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Epilogue. “북한 악성코드는 ...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좋아하는 ‘가죽나무’의 수가 확늘어났거든요. 가죽나무는 원래 따뜻한 중국 남쪽 지역에서 살던 외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로수로 쓰였지요. 원산지보다 추운 우리나라 기후에 잘 적응하지 못했지만, 2006년에 이상고온 현상이 이어지며 가죽나무 수가 늘기 시작했지요.이처럼 외래종 식물이 ...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아비간이 그만큼 인기스타라는 반증일까요? 아니면 짝퉁 공화국, 중국의 힘일까요? ★1위★ 브린시도포비르 브린시도포비르는 운 좋게 얻어 걸린 치료제입니다. 개발자도 이 약이 에볼라에 효과가 있을 줄은 몰랐다고 할 정도니까요. 이 약은 원래 다른 바이러스의 치료제로 ... ...
- [과학뉴스]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보행한 용반류) 공룡으로부터 조류가 진화했다는 가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1990년대 중국 랴오닝성 등지에서 깃털 달린 공룡이 발견되며 새의 공룡기원설에 힘이 실렸다. 그렇다면 현생 조류 가운데 공룡의 ‘직계 후손’은 누구일까.최근 닭이 공룡과 가장 가까운 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바탕으로 서양은 강대국으로 발돋움했다. 모험가를 홀대하며 세계의 흐름에 뒤처졌던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했던 나라에서 몰락의 길을 걸었다. 최 단장은 우주를 항해에 비유한다. 앞으로 우주 시대가 열릴 것은 자명한 일이며, 먼저 우주 산업을 선점하는 나라가 승리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악영향을 줄지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 신교수는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는 대부분 중국 등지에서 수입되는 것으로, 제작 표준이나 안전 기준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며 “액상의 니코틴 함량이 제 각각이고 표기조차 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심각한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 ...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정식 서비스 출시 이후 1년 만에 700만 다운로드를 달성했다. 특히 전체 다운로드 중 90%가 중국, 대만, 동남아 등 해외시장에서 이뤄졌다. 팬들이 자발적으로 입소문을 내주는 덕에 지금껏 마케팅도 따로 하지 않았다.“구글 플레이어에 리뷰로 ‘왜 베트남어가 없어요?’라는 댓글이 달리면 ‘번역을 ... ...
-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특히 올해는 행성보다 작은 왜행성 탐사가 연달아 이뤄질 예정이라 눈길을 끈다. 그밖에 중국의 달탐사도 본격적인 궤도에 오를 예정이다. 2015년 주요한 탐사선의 임무를 정리해 봤다.뉴호라이즌(New Horizons)목적지 | 명왕성 및 카이퍼벨트 소천체2015년 이벤트 | 7월 명왕성 근접 통과, 명왕성 및 위성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중 아황산 농도가 0.02ppm을 넘으면 매화나무지의는 아예 살지 못한다. 문 연구관은 특히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오는 오염물질이 큰 영향을 미쳤으리라고 짐작하고 있다. 일본도 열도를 세로로 가르는 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에 해당하는 동해 쪽 지역은 지의가 잘 자라지 못하고, 태평양 쪽을 향한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