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한국
뇌
은행,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
은행 지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관리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뇌
질환 발병기전 및 오믹스 분석을 위한 연구용으로 1152개
뇌
연구자원을 연구자에게 제공 중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주요 안전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극 융합하는 '디지털 안전 선도모델 개발' 사업에 참여할 신규과제를 오는 2월 ... ...
정부 생명 직결 필수의료 살린다...응급, 신생아·산모 의료체계 개편
2023.01.31
의료기관과 연계해 중증환자 진료에 집중하고 외래진료 감축 등 효과를 거두거나 응급심
뇌
혈관환자의 신속한 치료를 위해 권역센터-지역병원간 협력체계를 구축할 경우에도 성과를 보상하는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처우 개선 등으로 충분한 의료인력 확보 필수의료 분야 의료인력을 충분히 ... ...
도심에서 적군 드론만 무력화하는 안티드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31
경우 평형을 유지하기 힘든 것과 유사한 원리를 활용했다. 이번 연구는 달팽이관이
뇌
로 연결되는 신경막을 막아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만든 셈이다. 연구팀은 실내 차폐 시설을 이용해 10m 거리에서 호버링(정지) 비행 중인 드론을 즉각 추락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공격거리와 요구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폐암 세포 전이 막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31
KAIST 바이오 및
뇌
공학과 박사후연구원(왼쪽부터). KAIST 제공 ■ KAIST는 조광현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교수팀이 시스템 생물학 연구를 통해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암세포의 전이를 막고 약물에 대한 저항성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조 교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과 ... ...
‘사랑의 호르몬’ 없어도 애착관계 형성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후 애착관계 유지를 확인하는 실험에서 사용된 프레리 들쥐. 나스타시아 굿윈 제공
뇌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옥시토신은 ‘사랑의 호르몬’이라고 불린다. 감정을 조절하며 타인과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도 짝과 함께할 때 옥시토신이 분비되면서 ... ...
[일상속
뇌
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남성 비만에 효과 더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관련한
뇌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쥐 실험을 통해 확인할 결과 고지방 식단은
뇌
의 신경세포를 흥분시켜 미각을 느끼는 신호전달체계 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용 쥐는 고지방 식단을 지속할수록 칼로리 섭취량에 둔감해지고 과식을 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브라우닝 교수는 ... ...
원격진료로 신장암 ‘명의’ 찾은 베트남 환자…한국서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대량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수술 중에 혈전이 떨어져나가면 폐나
뇌
그리고 각종 장기에 색전증이 발생해 수술 중에 사망할 수도 있다. 하대정맥혈전 동반 신장암 수술은 일반적으로 개복수술을 한다. 개복하지 않고 로봇을 이용해 수술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환자의 상태를 ... ...
[주말N수학] 임선희 교수 "여러 세대가 쓰는 아이디어 내고 싶어"
수학동아
l
2023.01.21
동역학 분야의 ‘부피 엔트로피’ 개념을 적용해 환자를 여러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뇌
데이터를 분석했다. 부피 엔트로피란 부피가 얼마나 무질서하게 커지는지 측정할 수 있는 수치를 말한다. 대한수학회 논문상은 순수 동역학 연구로만 받았다. 동역학은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모든 것을 ... ...
BTS '다이너마이트'도 수면 유도…귀성길 졸음운전 주의
동아사이언스
l
2023.01.21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한다. 익숙한 음악은 어떻게 음악이 전개될지 알고 있기 때문에
뇌
가 예측활동을 벌이지 않고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빠른 박자나 큰 음향의 음악도 사람에 따라 ‘잠 오는 음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면을 유도하는 음악을 6가지로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