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계 제임스웹'...1만배 정밀한 MRI 세계 최초 구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가천대 길병원이 도입과 개발을 추진 중인 11.74T MRI의 설치 예상도. 가천대 길병원 제공 신경퇴행성
뇌
질환 극복을 위해 현재 활용되는 장비보다 ... 이는 한국이 세계 의과학사를 새로 쓰는 커다란 성과임과 동시에 인류가 풀지 못한
뇌
의 비밀을 푸는데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고 말했다 ... ...
실시간
뇌
혈류 측정기술 나왔다..."운동 중에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다위드 보리츠키 연구원은 "비침습적이며 신속한 대
뇌
혈류 측정 방식은 심각한
뇌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존 MRI 등에 비해 진단 장비의 크기가 작아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의대 정원 확대안에 '전공의 가뭄' 소아청소년과 회장 1인 시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한다고 강조했다. 임 회장은 “정신적, 육체적 소모가 많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나
뇌
수술을 하는 신경외과 전문의가 부족한 것은 의대정원을 늘려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라며 그동안 의료계가 제시한 수가 개선 등의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복지부는 9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한 ... ...
정신분열증 환자, 심혈관 질환 사망 많은 유전적 원인 처음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조직이 손상될 경우 신경보호 기능을 발휘하고 항염증, 혈관 및 신경 회복을 촉진시켜
뇌
손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면 TGF-β의 변이형인 'TGFB1'는 정상적 사이토카인과 다른 역할을 한다. 실제 기존 연구에서 'TGFB1'은 정신분열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B1' 유전자가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단백질의 발현을 없애자 노치 신호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 중인 생쥐
뇌
신경줄기세포의 카드헤린 발현을 억제하자 줄기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뉴런으로 분화했다. 이로써 접착연접에 의한 노치 신호 제어 과정이 신경계 발달과정에 관여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또 ... ...
태아 상태에서 자궁내 수술로 이분척추증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태아가 이분척추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임신 2기(15~28주)에 수술하면 양수가
뇌
에 축적돼 발생하는 수두증 위험을 줄이고 아기가 걸을 수 있는 확률을 두 배로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아의학 컨설턴트와 마취 전문의 등을 포함한 12명의 의료진은 산모의 복부를 개복한 뒤 ... ...
"치매 연관 질환, 치매 진단 오래전에 나타난다"
연합뉴스
l
2023.01.09
알츠하이머 치매 다음으로 흔한 형태의 치매로
뇌
졸중이나 기타
뇌
혈관 손상에 의해
뇌
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면서 발생한다. BLSA 대상자들은 대체로 교육 수준이 높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았기 때문에 자신의 건강 문제를 잘 알고 필요할 때 치료를 받았다. 따라서 치매 위험이 낮았을 수 ... ...
美 FDA,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카네맙' 조건부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1.08
슈라그 밴더빌트대 신경과학과 교수는 지난달 21일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환자는
뇌
과 광범위하게 부풀어 출혈이 생겼고 발작을 일으키며 사망했다"며 "이것이 레카네맙의 부작용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 ...
“술 안먹어도 지방간 있는 환자, 심혈관질환 위험도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위험도를 처음으로 분석해 의미가 크다”며 “고위험군은 간세포암과 허혈성 심장‧
뇌
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절한 감시가 환자들의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민종 교수는 “새롭게 개발된 근감소성 비만 고위험군 선별 모형은 임상의들이 간섬유화와 ... ...
종양을 유전자 교정해 암 사멸 유도...새로운 항암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2년이 채 안 될 정도로 예후가 불량해 최악의
뇌
암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악성
뇌
암 교모세포종 쥐 모델에서 살아있는 종양세포를 활용했다. 살아있는 종양세포가 동료 종양세포가 있는 곳으로 돌아가려는 특성에 주목했다. 살아있는 종양세포를 대상으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해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